동해 표기 확산 전략 ‘종이해도에서 전자해도로’

동해 표기 확산 전략 ‘종이해도에서 전자해도로’

입력 2012-04-30 00:00
업데이트 2012-04-30 1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동해 수록된 전자해도 확산한다전자해도는 연안국이 제작…연안국 지명 표기

정부가 ‘동해’ 표기 확대 전략으로 동해를 표기한 전자해도를 확산한다.

국토해양부는 동해 표기 확산을 위해 국내 IT기술을 활용한 전자해도 개발을 통해 동해가 수록된 전자해도 시장점유율 확대에 힘쓸 방침이라고 30일 밝혔다.

종이지도 대신 동해가 수록된 전자해도의 시장점유율을 높여 동해표기의 국제적인 확산을 노리겠다는 포석이다. 선박항해에 이용되는 해도가 종이해도에서 전자해도로 바뀌고 있는 현실을 고려했다.

게다가 지난 23-27일 모나코에서 열린 국제수로기구(IHO) 총회에서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개정 발간문제가 쟁점화되면서 S-23에 대한 무용론이 제기됐다. 일부 회원국들이 “전자해도가 발전하는 상황에서 S-23은 의미가 없다”며 폐간을 주장했다.

지명표기는 종이해도의 경우 IHO의 결정에 따른다. 반면에 전자해도의 제작 권리는 관할 연안국에 있다. 따라서 전자해도에는 연안국의 지명을 표기한다. 연안국의 허가없이는 지명을 수정할 수 없다.

이에 정부가 동해표기에 한계가 있는 종이해도의 대안으로 전자해도 확대 전략을 선택한 것이다.

정부는 새로운 제작표준을 개발해 전자해도의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전자해도 화면에 수심 등 기초정보와 더불어 기상변화, 조류 속도·방향 변화, 파고 등을 나타내도록 한다.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선박 좌초, 위험물 부유 등 돌발 항행 위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실제로 한국의 전자해도 기술력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지난 23-27일 열린 이번 IHO 총회 때 개최된 ‘스마트전자해도 검증시스템’에서 27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2위와 3위에는 일본과 프랑스가 올랐다.

정부는 전자해도 판매 확대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전자해도의 공급가격을 최대한 낮추고 해외 판매망을 늘린다. 현재 영국과 노르웨이 두 곳인 해외 판매망을 5곳으로 확대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동해병기 지지기반 확대에 외교력을 집중하고 저개발국가의 수로기술력 향상을 지원하겠다”며 “IHO 공인 국제전자해도교육센터 국내 유치를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