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박근혜 조카가족 내부거래 조사

금감원, 박근혜 조카가족 내부거래 조사

입력 2012-09-11 00:00
업데이트 2012-09-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감독원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조카 가족이 대유신소재의 내부 정보를 이용해 부당이익을 취했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 중이다.

이미지 확대
금감원 관계자는 10일 “대유신소재의 소유주식 보고 내용과 회계기록 내용 등을 살펴보고 있다”며 “우선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하며 문제가 있으면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박근혜 후보의 조카사위인 박영우 대유신소재 회장 부부 등이 2월 적자 전환 실적이 공시되기 전에 보유주식을 대량 매도한 것과 관련,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불공정거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이날 국회 대정부질의에 출석해 의혹과 관련해 “사실 관계나 내용에 대해 금감원 등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유신소재는 연결 기준으로 2010년 43억원 흑자에서 작년 46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이 회사는 연결 기준 실적 공시에 앞서 2월13일에는 27억원 적자로 전환한 개별기준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민주통합당 장병완 의원은 이날 “공시 사흘 전인 2월10일 자녀 2명과 부인 한유진씨 등 박 회장 가족 4명이 평균 단가 3천500원 가량에 227만주를 팔아 약 8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며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가 명백하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실제로 지주회사격인 동강홀딩스의 주식 대량보유 상황보고 공시에는 박 회장 등 4명이 2월10일 대유신소재 주식 227만4천740주를 주당 3천500원 안팎에 매도한 것으로 기재돼 있다.

박 회장 등이 주식을 처분한 2월10일에는 대유신소재 주가가 3천380원까지 오른 상태였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2월10일 주가가 계속 오르자 공시를 통해 시황 변동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고 대유신소재는 “1개월내 손익구조 변경공시, 주주총회 일정 등을 제외하면 특별한 요인은 없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대유신소재 주가는 작년 1천원대에 머물렀고 박 회장은 8~12월 회사 주식 21만여주를 1천원대에 집중 매입했다.

그러다가 작년 12월 박근혜 후보와 박 회장의 친인척 관계가 주식시장에 알려지며 껑충 뛰어 작년 마지막 거래일인 12월29일 3천220원까지 올랐다.

박 회장 등은 3천원대로 주식을 매도한 뒤 이뤄진 유상증자에서는 주식 지분을 다시 늘렸다. 유상증자에서 매도가격의 3분의 1 수준인 주당 1천260원으로 317만주를 다시 사들인 상태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이날 본원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확인은 해봐야겠지만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받았다”며 “9월 말 기준으로 적자 전환됐다는 공시가 됐고 12월 결산법인이어서 2월에 최종 공시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대유신소재는 분기별 보고서에서 1분기 흑자에서 2분기부터 적자로 전환한 사실을 공시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갑자기 적자로 전환한 것이 아니라면 참고할 수는 있지만 공시 사흘 전에 가족들이 주식을 대량 매도한 것은 문제는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박 회장 등의 2월 주식 대량매도와 관련해 허위공시 의혹이 제기됐지만 금감원은 이 부분은 규정에 어긋나지는 않는 것으로 봤다.

동강홀딩스의 주식매매내역 신고서에는 변동일이 2월10일로 표기돼 있지만 최대주주 변동보고서 공시에는 2월14일 장내매도한 것으로 기재돼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식대량 보고 공시는 거래일 기준이지만 최대주주 변동 신고 공시는 결제일을 기준이어서 서로 다른 것인지 허위공시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