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탈모증 심각… 여성탈모도 많아

젊은층 탈모증 심각… 여성탈모도 많아

입력 2012-09-19 00:00
업데이트 2012-09-19 1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평원 분석 결과… 20-30대 탈모환자 절반 육박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가운데 약 절반 정도는 20~30대 젊은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7~2011년 탈모증 진료 자료에 따르면 4년동안 환자가 16만6천명에서 19만4천명으로 17% 늘었다.

탈모 진료비 역시 같은 기간 100억원에서 147억원으로 47.4%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30대가 25%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21.6%)와 20대(20.8%) 등의 순이었다. 20~30대의 비중이 45.8%에 이르는 셈이다.

탈모는 20~30대부터 머리카락이 점차 가늘어지며 진행되는데, 20~30대 환자가 많은 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일수록 탈모 치료에 보다 적극적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51.9%를 차지해 여성(48.1%)보다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2007~2011년 연평균 환자 증가율 역시 남성이 4.1%로 여성(4.0%)를 약간 웃돌았다.

탈모증의 세부 종류 가운데 가장 흔한 것은 원형탈모증(75%)이었다.

매일 머리카락이 약 50~70개씩 빠지는 것은 정상적이지만, 자고 난 뒤나 머리를 감을 때 100개 이상의 머리카락이 빠진다면 병적 탈모 가능성이 큰만큼 진료를 받아야 한다는 게 심평원측의 조언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탈모를 예방하려면 적정한 양의 샴푸를 사용하고 꼼꼼하게 헹군 뒤 되도록 자연 바람으로 두피를 말리는 것이 좋다”며 “또 빈혈 및 갑상선 질환, 스트레스와 무리한 다이어트도 탈모의 원인인 만큼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탈모증 환자 연령별 점유율>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 0~9세 │ 4.3% │ 4.2% │ 3.7% │ 3.5% │ 3.1% │

├─────┼─────┼─────┼─────┼─────┼─────┤

│ 10~19세 │ 9.7% │ 9.8% │ 10.0% │ 10.1% │ 9.5% │

├─────┼─────┼─────┼─────┼─────┼─────┤

│ 20~29세 │ 24.6% │ 23.5% │ 23.1% │ 22.2% │ 20.8% │

├─────┼─────┼─────┼─────┼─────┼─────┤

│ 30~39세 │ 26.8% │ 26.3% │ 25.5% │ 25.3% │ 25.0% │

├─────┼─────┼─────┼─────┼─────┼─────┤

│ 40~49세 │ 19.8% │ 20.1% │ 20.5% │ 20.8% │ 21.6% │

├─────┼─────┼─────┼─────┼─────┼─────┤

│ 50~59세 │ 10.0% │ 10.8% │ 11.5% │ 12.3% │ 13.8% │

├─────┼─────┼─────┼─────┼─────┼─────┤

│ 60세이상 │ 4.8% │ 5.2% │ 5.6% │ 5.8% │ 6.2% │

└─────┴─────┴─────┴─────┴─────┴─────┘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