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재벌 부채 총액 1천조 육박

30대 재벌 부채 총액 1천조 육박

입력 2012-10-08 00:00
업데이트 2012-10-08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30대 재벌그룹의 차입금이 급증하면서 부채 총액이 1천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이 200%가 넘는 그룹도 10개에 달했다.

8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자산 순위 30대 재벌그룹의 2009~2011 회계연도 기준 재무현황을 살펴본 결과, 작년 말 현재 부채 총액은 994조2천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2011 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에서 집계된 한국 중앙정부의 부채(402조8천억원)의 2배가 넘는 액수다.

30대 재벌그룹의 부채 총액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는 772조3천억원, 2010년에는 857조3천억원이었다.

불과 2년 사이에 221조9천억원(28.7%)이 증가하면서 지난해말 1천조원에 근접한 것이다.

30대 재벌그룹 가운데 부채총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웅진이었다.

웅진그룹은 차입금이 2009년 1조5천억원에서 작년 말 4조3천억원으로 186.7% 증가하면서 부채총액도 3조9천억원에서 7조2천억원으로 2년 사이에 무려 84.7% 급증했다.

웅진의 부채비율은 2009년 130.0%에서 작년 말 217.6%로 상승했다.

부채총액 증가율 2위는 CJ그룹이다. 이 그룹의 부채는 2009년말 6조4천억원에서 작년 말 11조1천억원으로 73.8% 늘었다.

또 LG(56.1%), 현대차(53.6%), 효성(52.7%), 미래에셋(52.6%), 롯데(50.6%) 등의 그룹의 부채도 이 기간에 50% 이상 증가했다.

작년 말 현재 부채 총액이 자기자본의 2배가 넘는 그룹(부채비율 200% 이상)은 30대 그룹 중 10곳에 달했다.

동양(885.5%), 동부(509.4%), 한화(473.3%)의 부채 비율이 높았으며 웅진그룹은 217.6%였다.

30대 재벌그룹의 차입금과 부채총액이 급증한 이유는 대형 인수ㆍ합병(M&A) 등 사업확장과 경기 부진에 따른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차입금을 크게 늘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금융위기 이후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을, SK그룹이 SK하이닉스를, 롯데그룹이 하이마트를 각각 인수하는 등 대형 M&A가 이어지면서 계열사도 2009년 983개사에서 작년 말 1천165개사로 18.5%(182개) 증가했다.

재벌닷컴 정선섭 대표는 “중소기업들은 자금난에 허덕일 때 재벌 그룹들의 계열사 확장은 부채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