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30만배럴 수출… 50년만에 세계적 에너지기업으로

매일 30만배럴 수출… 50년만에 세계적 에너지기업으로

입력 2012-10-25 00:00
업데이트 2012-10-2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석유수출 전초기지 SK울산공장을 가다

지난 23일 울산 남구 고사동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 제8부두. 인도네시아로 수출할 디젤을 싣기 위한 ‘프로 얼라이언스’호의 선적 작업이 한창이었다. 66만 배럴의 유조선은 초고속으로 주입되는 디젤의 무게로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23일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 내 제8부두에서 직원들이 수출용 석유제품을 로딩암을 통해 유조선에 선적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23일 SK이노베이션 울산콤플렉스 내 제8부두에서 직원들이 수출용 석유제품을 로딩암을 통해 유조선에 선적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수송선은 SK이노베이션의 송유관과 연결된 두 개의 ‘로딩암’을 통해 디젤을 공급받고 있었다. 이 부두에는 최대 200만 배럴 선적규모의 유조선이 입항할 수 있고, 시간당 1만 5000배럴까지 선적할 수 있는 로딩암 파이프를 3개까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웬만한 유조선도 24시간 안에 선적을 마칠 수 있다. 로딩암을 동시에 최대 3개를 연결해 기름을 주입하는 기술은 국내에서 SK에너지가 유일하다.

창립 50주년을 맞은 SK이노베이션 울산공장은 원유 수입과 석유제품 수출을 위해 22척의 선박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부두 8곳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부두를 통해 연간 1200여척의 선박이 드나들고, 국내 하루 석유소비량(200만 배럴)의 15%에 해당하는 30만 배럴이 매일 수출된다.

최영식 울산공장 총무반장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부두를 불필요하게 크게 만든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처리 물량이 너무 많아 모자라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곳은 서울 여의도의 2.5배에 크기인 826만㎡(250만평)에 원유저장시설과 정유공장, 중질유 분해공장, 나프타분해공장, 액화석유가스(LPG) 지하암반 저장시설, 송유관, 전용 부두 등이 모두 모여 있다.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울산공장은 송유관이 얽히고설켜 위에서 보면 마치 거대한 ‘회로판’ 같다. 공장 내 송유관의 총 길이는 60만㎞로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의 1.5배다.

실제로 2010년 우리나라를 찾은 라파엘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도 울산공장을 방문한 뒤 “우리도 원유 생산에만 머물지 말고 SK처럼 플랜트를 지어 석유제품을 직접 만들겠다.”며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1960년대 초까지만 해도 작은 어촌 마을에 불과했던 이 지역은 정유시설이 들어서면서 대한민국 석유산업 발전의 메카가 됐다. 1964년 대한석유공사 시절 이곳에 3만 5000배럴 규모의 제1상압증류시설을 건설·가동함으로써 석유산업의 씨앗을 뿌린 SK는 지난해 기준으로 2억 9700만 배럴의 생산능력을 갖춘 세계적인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했다.

당시 필리핀에 3만 배럴의 휘발유를 공급하면서 시작된 수출도 지난해에는 1억 7200만 배럴로 급신장하며 한국의 대들보 수출기지로 자리잡았다. 금액으로는 30조원에 달한다. 이러한 수출 성과를 바탕으로 SK이노베이션의 석유사업 자회사인 SK에너지의 지난해 매출도 49조 4009억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울산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10-25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