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올들어 영업이익 11%선 세계최고 BMW 11.38%에 육박

현대차 올들어 영업이익 11%선 세계최고 BMW 11.38%에 육박

입력 2012-11-20 00:00
업데이트 2012-11-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분기 美판매량 최다 등 덕봐

현대차의 영업이익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수익성에서 세계 최고로 꼽히는 BMW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대중브랜드인 현대차가 평균판매가격(ASP)이 높은 고가 브랜드 BMW에 근접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는 올해 미국에서 현대차의 고급차 삼총사인 그랜저(수출명 아제라)와 제네시스, 에쿠스가 최다 판매를 기록했고 차량 제값 받기 전략 등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의 올 1~3분기 영업이익률은 11.08%로, 같은 기간 BMW그룹의 영업이익률 11.38%와 비슷했다. 이 기간 자동차 부문 영업이익률도 현대차 10.91%, BMW그룹 10.94%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자동차 부문에서 양사 간 영업이익률이 0.03% 포인트까지 좁혀진 것은 수익성이 거의 같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은 자동차 업계에서 흔치 않은 수치다. 폭스바겐, GM 등 세계 주요 대중차 브랜드들은 영업이익률이 6% 안팎이다.

현대차의 높은 이익률은 마진 폭이 큰 고급차의 판매 호조 때문이다. 올 1~10월 미국에서 그랜저와 제네시스, 에쿠스 3개 차종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1만 9756대)보다 53.4% 급증한 3만 315대이다. 이는 지난해 연간 판매량(2만 3567대)을 이미 뛰어넘은 것으로 사상 최대 기록이다. 이들이 전체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3%대에서 올해는 6%대로 껑충 뛰었다.

이러한 고급차종의 판매 호조로 2010년 1만 3000달러대이던 현대차의 ASP는 지난해 1만 5000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올해에는 1만 6000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현대제철과 현대모비스, 현대캐피탈 등의 수직 계열화에 따른 원가절감도 이익률을 높이는 데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지난해부터 차량 값 할인을 없애는 등 차량 제값 받기에 따른 영향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로 자동차 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과 같은 두 자릿수 이익률을 이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11-20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