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객실보다 음식·행사로 돈 번다

호텔, 객실보다 음식·행사로 돈 번다

입력 2013-02-18 00:00
업데이트 2013-02-18 14: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텔들이 본업인 객실 서비스보다 음식료·행사 등의 부대서비스로 더 많은 돈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소재 특급호텔들은 고가 레스토랑 운영이나 대규모 국제행사, 부유층·연예인 결혼식 유치 등을 통한 부대수입이 객실수입의 2배에 달한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기준으로 전국의 569개 호텔 매출액 5조3천394억원 중 객실수입은 40.0%인 2조1천335억원이었다.

반면에 음식료수입이 1조6천569억원(31.0%)이었고 행사유치 등을 통한 기타수입이 1조5천491억원(29.0%)으로 60%를 차지했다.

객실 300실 이상 특급호텔의 경우 부대수입이 객실수입의 2배가 넘었다.

이들 특급호텔 53곳의 객실수입은 1조1천271억원이지만 음식료수입이 1조229억원, 기타수입이 1조2천477억원이었다.

이 중에서도 서울에 있는 객실 300실 이상 특급호텔 23곳의 매출액 2조6천393억원 중 객실수입은 29.1%(7천681억원)에 불과했다. 음식료수입이 29.2%(7천707억원)였고 기타수입이 오히려 41.7%(1조1천5억원)였다.

이는 대표 관광지인 제주와 대조를 이뤘다.

제주의 300실 이상 특급호텔 7곳의 매출액(1천996억원) 중 객실수입 비중은 52.1%(1천40억원)였고 음식료수입 33.1%(661억원), 기타수입 14.8%(295억원)였다.

객실 300실 이상 특급호텔은 서울이 23개로 가장 많고 부산 10개, 제주 7개, 인천 4개, 경북 3개, 대구·강원 각 2개, 광주·충북 각 1개 등이고 그 외 지역은 없다.

전체 호텔의 9.3%에 불과한 이들 호텔 매출(3조3천976억원)이 전체 호텔 매출의 63.6%를 차지했다.

중소형 호텔들은 아직 객실수입이 부대수입보다는 많은 편이다.

객실 100∼300실 호텔 145곳의 매출 1조3천115억원 중 객실수입이 50.9%인 6천682억원이고 50∼100실 229곳의 매출액 중 객실수입 비중은 53.3%, 50실 미만은 54.8%였다.

전체 호텔의 객실수입 비중은 한류 등으로 관광객이 증가하며 2007년 32.3%에서 2008년 38.6%, 2009년 38.2%, 2011년 40.0%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호텔의 편의시설 3천247개 중 결혼식, 세미나 등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연회장, 회의장 등이 1천86개(3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식당, 레스토랑 등이 831개, 커피숍 등이 398개, 주점·바 등이 310개, 사우나탕 등이 239개, 헬스장 118개, 수영장 86개, 나이트클럽 62개, 골프연습장 53개, 성인오락실 48개, 골프장 7개 등이었다.

호텔 569곳 중 매출액 50억원 이상이 139곳, 10억∼50억원 216곳, 5억∼10억원 106곳, 1억∼5억원 92곳, 1억원 미만 9곳 등이었다.

상장사인 호텔신라의 2011년 매출은 1조7천984억원이고 이중 호텔사업부 매출은 2천304억원이다. 나머지는 면세사업부 수입이다.

전국에서 호텔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139개이고 수도권과 관광지에 몰려 있는 편이다. 서울 다음으로 경기(64개), 부산(55개), 제주(52개), 인천(37개), 강원(35개) 순이었다.

또 경북 33개, 경남 31개, 전남 22개, 대구 17개, 광주 17개, 충남 15개, 대전 12개, 전북 12개, 울산 7개 등이었다.

호텔 종사자는 3만7천759명이며 객실수 300실 이상 특급호텔에 47.6%인 1만7천974명이 근무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