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살아나나… 해외언론·투자기관 호평

한국경제 살아나나… 해외언론·투자기관 호평

입력 2013-09-18 00:00
업데이트 2013-09-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양적완화(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통화정책) 축소가 임박하면서 신흥국 금융시장이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서는 외국 언론과 투자기관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17일 아시아판 칼럼을 통해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공포로 신흥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투자할 만한 곳을 소개한다”면서 “시장이 조정될 때는 ‘코렉시코’(Korexico)로 가라”고 조언했다. 코렉시코는 한국과 멕시코를 말한다.

FT는 미국 양적완화 축소 논란 이후 한국과 멕시코가 신흥국 중에서 가장 잘 방어했다고 평가했다. 선방의 핵심 이유로 두 국가의 대미 수출이 미국의 경기 회복세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멕시코는 수출의 66% 이상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고 한국은 전체 대미 수출 비중은 10%가량에 불과하지만 전자제품,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을 미국에 대규모로 수출하고 있다.

FT는 한국과 멕시코가 다른 신흥시장과 달리 양적완화 정책을 펼친 선진국의 중앙은행들이 유발한 핫머니(투기성 단기자금)를 끌어들이지 않았다는 점도 선방의 이유로 꼽았다. 다만 한국과 멕시코의 상반기 기업 실적이 실망스러웠고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앞으로 단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무라금융투자도 한국이 26개 주요 신흥국들 가운데 대외 충격에 대한 민감도에서 8번째로 양호한 국가라고 평가했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화표시 부채 비율이 34%로 16번째로 낮고, 외화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7%로 12번째로 낮았다.

특히 한국의 경기를 고려한 GDP 대비 구조적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3.9%로 말레이시아, 중국, 베네수엘라 등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노무라는 구조적 경상수지와 지난 3년간의 경상수지 추이 등을 고려할 때 한국, 베트남, 헝가리, 필리핀 등 4개국만이 앞으로도 경상수지 흑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도 한국의 가계소비가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증가율이 둔화됐지만, 소비심리가 점차 개선돼 앞으로는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도이치은행은 원만하지 못한 한국의 노사 관계를 들며 노사갈등과 임금상승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에너지 집약 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 비용이 상승해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9-18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