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도 구직도 않는 고학력자 300만명 돌파

일도 구직도 않는 고학력자 300만명 돌파

입력 2014-02-03 00:00
업데이트 2014-02-03 08: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사회의 고학력화에 따라 대학을 나오고도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가 300만명을 넘어섰다.

3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비(非)경제활동인구는 307만8천명으로 전년(298만3천명)보다 3.2% 늘었다.

이 가운데 전문대 졸업자는 지난해 100만명, 대학교(4년제) 이상 졸업자는 200만명 선을 각각 돌파했다.

전문대 졸업자는 100만8천명으로 2012년(99만6천명)보다 1.2%, 대학교(4년제) 이상 졸업자는 207만1천명으로 전년(198만7천명)보다 4.2%가 각각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비경제활동 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에서 취업자와 실업자를 뺀 것으로, 일자리 없이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가사·육아 종사자, 학생, 연로자가 많지만 취업준비생, 구직 단념자나 그냥 쉰 사람도 포함된다.

대졸 이상 비경제활동 인구는 2000년 159만2천명(전문대졸 48만6천명, 대학교졸 이상 110만7천명)이었으나 2004년 200만명 선을 넘어섰다. 지난해 300만명을 돌파했으니 9년 사이에 100만명이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비경제활동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99년 10%, 2005년 15% 선을 각각 돌파하고 지난해에는 18.98%까지 상승했다. 비경제활동 인구 10명 중 2명 꼴이다.

이런 증가에는 고학력화의 영향이 컸다.

대학(전문대 포함) 진학률은 1990년대 초반까지 30%대에 머물다가 1995~1996년 50%대, 1997~2000년 60%대, 2001~2003년 70%대에 이어 2004년부터 80%대로 올라섰다.

고령화에 따라 고학력 은퇴인구가 늘어나는 것도 배경으로 꼽힌다.

한편, 학력 인플레가 심해지면서 고학력 취업자도 늘고 있다.

대졸 이상 취업자는 2000년 520만명대였으나 2012년 1천만명을 넘어선 데 이어 작년에는 1천55만9천명으로 불어났다. 전체 취업자의 42.12%에 해당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