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소르망 “韓 대기업 오너는 투옥 피하려 자선활동”

기 소르망 “韓 대기업 오너는 투옥 피하려 자선활동”

입력 2014-04-03 00:00
업데이트 2014-04-03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에 기부문화가 정착되려면 대기업이 직원 봉사활동을 위한 유급휴가제 도입 등 다양한 형태로 돈과 시간을 기부할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 소르망 파리정치학교 교수가 3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국민복지 향상과 기부문화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 소르망 파리정치학교 교수가 3일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국민복지 향상과 기부문화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또 한국의 대기업 오너는 감옥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기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문명비평가인 기 소르망(Guy Sorman)씨는 3일 중구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제연구원 주최 강연회에 참석해 한국에 아직 기부 문화가 정착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제자문위원을 맡는 등 지한파로 알려진 그는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자 선진국임에도 개인 기부가 적다며 “가족을 앞세우는 문화 속에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기보다 자기 가족만 생각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 기업들의 ‘보여주기식’ 기부 행태도 지적했다.

그는 “일부 기업은 상당한 자선활동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 기업 홍보(PR)의 일환이다”라며 “특히 한국에서는 대기업 오너가 감옥가기 싫어서 자선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꼬집었다.

이처럼 사회 전반에 기부 문화가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에 대기업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에 앞장설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기업은 정부가 관료주의적 환경에서 발전시키지 못한 기부 방법을 생각할 수 있고, 소외계층의 세부적인 수요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한 대기업이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는 것을 보며 국민들이 ‘애증’을 갖게 된 점도 대기업이 기부문화 정착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그는 “미국의 경우 회사가 직원들에게 비영리 단체에서 봉사활동을 할 수 있게 유급휴가를 준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이런 제도가 수익을 창출하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타협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르망 씨는 기부 문화를 확대하려면 정부가 기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을 늘릴 필요가 있고, 비영리단체가 여러가지 기부 방식과 사회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해 최선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자신의 기부금이 어느 곳에, 어떻게 쓰였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단체를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그는 “더 많이 기부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려면 기부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독립적인 기관이 설립돼 기부금이 얼마나 잘 활용되는지 감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