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세월호, 항로 벗어나지 않아”

해수부 “세월호, 항로 벗어나지 않아”

입력 2014-04-16 00:00
업데이트 2014-04-16 16: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양수산부는 16일 여객선 세월호의 침몰 사고와 관련해 “세월호가 항로를 벗어나 운행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수행여행을 간 고등학생 325명을 비롯한 승객들을 태운 여객선이 16일 오전 전남 진도 해상에서 좌초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분주하게 상황을 파악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행여행을 간 고등학생 325명을 비롯한 승객들을 태운 여객선이 16일 오전 전남 진도 해상에서 좌초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분주하게 상황을 파악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수부 관계자는 “인천에서 제주도로 갈 때 정해진 항로가 있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다니는 뱃길에서 얼마나 벗어났느냐가 문제인데 항로를 추적해본 결과 통상 항로와 거의 비슷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항로를 이탈한 것도 아니고 사고 해역이 암초가 많은 구역도 아니어서 현재로서는 사고 원인을 짐작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세월호는 청해진해운 소속의 여객선으로 총 톤수가 6천825t에 달한다. 1994년 4월 건조됐다.

정원은 여객 정원을 기준으로 921명이다. 통상 여기에 선원과 선내 식당 종사자 등을 합치면 최대 950명까지 탑승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당시 승선원은 여객 448명과 선원 29명을 합쳐 모두 477명이었다. 이 중에는 수학여행에 나선 경기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 325명과 교사 14명이 포함돼 있다.

한편 3천t급 이상 화물선이나 국제여객선에는 항공기의 ‘블랙박스’에 해당하는 ‘선박항해기록장치’(Voyage Data Recorder·VDR)가 장착돼 있지만 사고가 난 여객선 세월호는 연안여객선이라 이 장비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