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1020원선 붕괴 가능성

원·달러 환율 1020원선 붕괴 가능성

입력 2014-06-07 00:00
업데이트 2014-06-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CB 첫 마이너스 금리 도입… 한국 금융시장 영향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초유의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열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장의 기대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ECB의 결정으로 5일(현지시간) 미국과 유럽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특히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6일이 공휴일인 탓에 국내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은 전날 새벽 날아든 ‘재료’에 반응하지 못했다. 국내 주식시장도 일단 지리한 박스권 탈출을 시도해볼 돌파구는 확보했지만 주말 등으로 사흘 뒤에야 장(場)이 열린다는 게 제약요인이다.

더 큰 영향권은 외환시장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7일 달러당 1030원선이 무너진 이후 한 달 가까이 1020원선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다. 이후 1020원을 뚫으려는 시장과 막으려는 당국의 팽팽한 힘 겨루기가 계속돼 왔지만 ECB의 결정은 이런 힘의 균형에 일단 균열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ECB는 은행들더러 중앙은행에 돈을 맡기려면 이자는커녕 되레 수수료(마이너스 금리)를 내라고 결정했다. 그러니 예금할 생각은 접고 차라리 기업이나 개인에게 빌려주라는 의미다. 이 여파로 유로화 가치는 ECB의 발표가 나온 이후 달러당 1.35유로까지 떨어졌다. 이런 추세가 지속될지에 대해서는 분석이 엇갈린다. 국제금융센터는 당분간 더딘 약세를 유지하되,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 유로화 약세가 지속되면 상대적으로 달러화는 강세로 돌아서 원화환율 하락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유로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글로벌 자금이 이윤을 좇아 대거 이동할 경우 상대적으로 경제체력(펀더멘털)이 좋은 우리나라로 유입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원·달러환율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

당장은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겠지만 다시 강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정경팔 외환선물 시장분석팀장)도 있다. 유로화 강세 전환은 달러화 약세를 의미하는 만큼 원·달러 환율은 떨어지게 된다. 즉, 유로화가 어느 쪽으로 움직이든 원·달러 환율에는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진단이다. 외환딜러들이 “ECB의 발표로 1020원선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는 이유다. 다만, 1000원선 사수에 대한 외환 당국의 의지가 워낙 강해 세자릿수 환율 시대를 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아직은 중론이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6-07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