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강풍에 이미 예견 외환당국 ‘막음’ 없었다

ECB 강풍에 이미 예견 외환당국 ‘막음’ 없었다

입력 2014-06-10 00:00
업데이트 2014-06-10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20원 무너진 원·달러 환율

9일 달러당 1020원 선이 무너진 것은 지난 5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의 경기 부양책 발표 이후 어느 정도 예견됐던 일이다. 장중 한때 1020원 선이 붕괴됐던 지난달 30일과 달리 외환 당국이 무리하게 종가(終價)를 막아서지 않은 것은 그래서다. 원화가치는 달러화뿐 아니라 엔화, 위안화에 대해서도 ‘트리플 강세’를 보이고 있다.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9일 서울 중구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1016.2원으로 표시돼 있다. 종가 기준으로 1020원 붕괴는 5년 10개월 만이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9일 서울 중구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1016.2원으로 표시돼 있다. 종가 기준으로 1020원 붕괴는 5년 10개월 만이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날 환율을 끌어내린 가장 큰 요인은 ‘ECB 재료’다. ECB가 마이너스 금리 도입 등 돈을 풀겠다고 발표하면서 아시아 통화는 상대적으로 강세로 돌아섰다. 글로벌 자금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 등으로 대거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연휴 끝에 수출업체들이 달러를 마저 내놓은 것과 외국인이 18거래일 연속 주식 순매수를 이어간 것도 원화를 강하게 떠받쳤다.

그렇다고 세 자릿수 환율 시대가 쉽게 열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된 관측에 변화가 감지되는 않는다. 손은정 우리선물 연구원은 “연내 달러당 1000원 선이 깨질 가능성은 낮다”며 “외환 당국 개입에 대한 경계감이 여전하고 하반기에는 미국 경기 호전 등에 따른 달러화 강세도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는 1000원 선이 깨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진우 농협선물 리서치센터장은 “시간의 문제일 뿐, 결국은 1000원 선을 향해 꾸준히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2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경상 흑자 등 국내에 달러가 넘쳐나 당국도 막아서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원·엔 재정환율도 이날 오후 3시 현재 100엔당 991.61원을 나타냈다. 전 거래일보다 3.51원 떨어진 수준이다. 원·위안 재정환율은 같은 시간 1위안당 163.02원을 기록했다. 2011년 7월 이후 2년 10개월여 만에 최저 수준이다.

위안화 대비 원화 가치는 올 2월 이후 9.35%나 올랐다. 원화가 트리플 강세를 보이면서 중소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약화와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6-10 1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