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먹을거리 수입시장서 한국산 1% 미만”

“중국 먹을거리 수입시장서 한국산 1% 미만”

입력 2014-07-22 00:00
업데이트 2014-07-22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협 “FTA로 높은 세율, 인증 장벽 극복해야”

중국의 먹을거리 수입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한국산의 점유율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에 따르면 중국에 대한 한국의 식품 수출액은 2000년 1억2천100만 달러에서 2013년 7억2천500만 달러로 6.0배 증가했다.

그러나 중국의 전체 식품 수입액은 같은 기간 82억5천200만 달러에서 950억8천200만 달러로 11.5배 급증해 한국산 비중은 1.47%에서 0.76%로 작아졌다. 올해 1∼5월 중국의 식품 수입액 가운데 한국산 비중은 0.58%(2억5천600만 달러)에 불과했다.

무협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중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극복하고 중국인의 입맛에 맞는 신제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하는 주요 제품 가운데 음료수, 홍삼, 김 등의 관세율은 15% 이상으로 통관 때 내야 하는 부가가치세 17%를 더하면 실제 가격 대비 35∼60%의 세금이 붙는다.

중국의 상품 분류와 인증 기준을 감안해 수출 제품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무협은 지적했다.

예컨대 중국에서는 우유성분이 80%를 넘지 못하면 음료수로 분류된다. 한 수출기업의 딸기 맛 우유는 우유성분이 40%에 그쳐 우유제품 관세율 15%보다 높은 35%의 음료수 관세율을 적용받기도 했다.

5년 이상된 인삼으로 만든 제품은 보건식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미리 중국식품인증(CFDA)을 받아야 한다. 인증 취득에는 2년여가 걸리고 비용도 수천만원이 든다.

최용민 무역협회 베이징지부장은 “중국은 농축수산물 대국이지만 소득수준 향상과 자국산 제품에 대한 불신으로 먹을거리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한국산의 우수한 품질과 한류를 바탕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