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유튜브 이어 페북·트위터 계정 개설… 친절해진 한은

[경제 블로그] 유튜브 이어 페북·트위터 계정 개설… 친절해진 한은

입력 2014-08-02 00:00
업데이트 2014-08-02 01: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은행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소통’을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유튜브에 이어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도 공식 계정을 개설했습니다. 불과 2~3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소셜미디어에 문호를 개방하는 것이 통화정책의 핵심인 ‘정보의 균등 제공’을 해칠 수 있다며 갑론을박을 벌인 것에 비춰 보면 격세지감마저 느껴집니다.

페이스북(www.facebook.com/bankofkoreahub)과 플리커(www.flickr.com/photos/bankofkorea/sets)는 1일부터, 트위터(www.twitter.com/bok_hub)는 14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거나 합니다. 동영상은 물론, 성장률 등 주요 경제지표도 실시간 제공합니다. 한은은 ‘국제화’를 강조한 김중수 총재 때인 지난해 7월 유튜브에 처음 진출했습니다. 올 2분기 기준 하루 평균 조회 수는 116회입니다. 지금까지 누적 조회 수는 3만 2728회. 총재 기자회견, 금요경제강좌, 위조지폐 감별 동영상 등이 인기 메뉴입니다.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2009년부터 소셜미디어 활용에 나섰지만 유독 한은은 뭉그적댔습니다. ‘정보 비대칭’ 우려도 있지만 조직문화 자체가 워낙 보수적인 탓이 컸습니다. 이에 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2009년 3월)나 유럽중앙은행(2009년 10월), 일본은행(2011년 11월) 등 다른 나라 중앙은행은 일찌감치 SNS 소통을 시작했습니다. 내친김에 한은은 이번에 ‘양방향’도 열었습니다. 기존 유튜브 계정에서는 사용자들이 댓글이나 ‘좋아요’ ‘싫어요’ 버튼을 누를 수 없습니다. 한은이 이를 원천 봉쇄했기 때문이지요. 한은은 “이제부터는 쓴소리든 단소리든 경제주체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반응을 바로바로 수렴해 ‘국민 속의 중앙은행’이 되겠다”고 강조합니다. 한은이 조금 젊고 친절해졌습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8-02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