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LTE 1위 탈환하고도 ‘씁쓸’

삼성전자, LTE 1위 탈환하고도 ‘씁쓸’

입력 2014-08-25 00:00
업데이트 2014-08-25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애플 비수기 덕·점유율도 하락

삼성전자가 올 2분기 프리미엄 시장인 롱텀에볼루션(LTE) 휴대전화 시장에서 애플을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3분기 만의 정상 탈환인데도 삼성전자는 씁쓸한 표정이다. 애플 비수기와 맞물린 ‘어부지리’ 1위인데다 점유율도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24일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분기 2860만대의 LTE 휴대전화를 판매해 점유율 32.2%를 기록했다. 올 1분기보다 3.2%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점유율이 8.6% 포인트 급감해 2위로 밀린 애플(40.5→31.9%)과 대조적이다.

하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삼성전자에 희소식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애플의 아이폰은 보통 9~10월 출시돼 다음해 3월까지 판매량 피크를 기록한다. 2~3분기는 애플에 있어 전통적인 비수기다. 이 시기 1위는 LTE 시장을 양분하는최대 라이벌 삼성전자가 차지해 왔다. 지난해 2분기에도 삼성전자의 LTE 시장 점유율은 47.0%에 달했고, 애플의 점유율은 23.5%에 불과했다. 삼성전자의 이 시장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5% 포인트 하락한 반면 애플은 8.4%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LTE폰의 대표주자인 갤럭시S5가 예상만큼 안 팔렸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특히, 삼성전자와 애플의 양자구도가 깨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2분기 삼성전자와 애플의 LTE 시장 점유율은 70.5%였지만 올 2분기에는 63.9%로 6.6% 포인트 줄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8-25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