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닉 빠진 KB그룹…임영록 회장의 선택은

패닉 빠진 KB그룹…임영록 회장의 선택은

입력 2014-09-04 00:00
업데이트 2014-09-04 1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 행장 사퇴로 압박 받아…새 경영진 선출 때까지 경영공백 불가피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의 중징계가 확정돼 이 행장이 전격 사퇴하는 금융권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다.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KB는 당분간 극심한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패닉에 빠진 임직원들은 할 말을 잃은 모습이다.

갈등의 한 당사자인 이 행장의 사퇴로 임 회장에 대한 사퇴 압력도 높아지면서 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임 회장이 사퇴를 결심할 경우도 차기 경영진 선임에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당분간 KB의 경영 공백은 불가피해 보인다.

◇KB 내부 ‘패닉’…”양측 모두 자중하지 못했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4일 국민은행 주 전산기 교체 문제와 관련해 임 회장과 이 행장에 대한 제재 수위를 중징계(문책경고)로 상향 조정했다.

경징계(주의적 경고)로 충분하다는 지난달 22일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의 의견을 전면적으로 뒤집은 결정이다. 이 행장은 “은행장으로서 해야 할 일을 했다”며 이날 전격적으로 사퇴했다.

KB금융그룹 직원들은 패닉에 빠진 모습이다.

당초 중징계 통보를 받았던 두 사람이 제재심의위원회의 경징계 의견으로 기사회생하면서 조직의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가졌는데, 최 원장의 중징계 결정으로 그 희망이 한순간에 무너져버린 것이다.

국민은행의 한 간부는 “지난해 말부터 카드 정보 유출, 도쿄지점 부당대출, 국민주택채권 위조 등 대형 사건이 잇따라 KB의 이미지가 땅에 떨어졌는데 이제 그 절정에 이른 느낌”이라며 “다만 이 행장의 사퇴는 용기있는 행동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 내부에서는 중징계 결정을 두 사람이 자초했다는 비판 어린 시선이 적지 않다.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의 경징계 의견으로 기사회생했다면 마땅히 자중하고 대승적인 화해를 이뤘어야 하는데, 두 사람이 보인 모습은 그와는 정반대였다는 지적이다.

’소통과 화해’를 내걸고 떠난 템플스테이에서 충돌이 빚어져 이 행장이 먼저 돌아오는 불썽사나운 모습이 연출됐고, 이 행장의 주 전산기 교체 관련 임원 고발로 임 회장과의 갈등이 더욱 고조되는 결과를 낳았다.

KB금융그룹의 한 직원은 “두 분이 다투는 모습이 그룹 외부에 어떻게 비춰졌을지 짐작이 간다”며 “본인의 생각과 주장이 어떠하든 그룹의 장래를 위해 통 큰 화해를 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이 행장 사임…임영록 회장도 사퇴 압박 받을듯

금감원의 중징계 결정과 이 행장의 사임으로 KB금융은 최대 위기를 맞았다.

당장 임 회장의 거취가 불투명해져 경영권 향배가 안갯속이다. 중징계 결정을 받았다고 해서 반드시 물러나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의 관례에서 볼 때 당국의 퇴임 압박이 거세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종준 하나은행장도 하나캐피탈 사장 재임 시절 발생한 저축은행 부실 투자로 중징계 통보를 받은뒤 버티기에 들어갔지만, 사퇴 압박이 이어지자 결국 ‘외환은행 조기통합에 대한 노사 합의가 마무리되면 물러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 금융권 인사는 “갈등의 한 당사자인 이건호 행장이 물러났는데 다른 당사자인 임영록 회장이 자리를 지키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조만간 사퇴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하지만 임 회장이 거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오랜 공직생활을 해온 임 회장이 가처분 신청 등 법적 구제를 요청할 가능성은 있다. 더구나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 임 회장의 중징계는 이달말쯤 금융위원회에서 확정되기 때문에 한 가닥 희망을 걸어볼 수 있다.

금융위의 중징계 확정에도 불구하고 임 회장이 사퇴를 거부한다면 최 원장이 의도했던 KB의 조기 안정은커녕 금융계에 더 큰 혼란을 던질 수도 있다. KB금융그룹은 ‘괘씸죄’에 걸려 그룹이 야심차게 추진하는 LIG손해보험 인수의 승인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최근 KB금융은 LIG손보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신청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했으며, 승인 여부는 내달 말 금융위 회의에서 결론이 날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승인을 거부할하면 자산 400조원의 거대 금융그룹이 되겠다는 KB의 꿈은 무너지게 된다.

◇사퇴시 후임 선출 시간 걸려’경영공백’ 불가피

두 사람이 모두 사퇴할 경우 KB금융그룹은 회장과 행장 모두를 새로 선임해야 한다. 이 과정도 만만치 않은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KB금융지주 회장 선임은 사외이사 9명으로 이뤄진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에서 하게 된다. CE0 승계 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지는 내부 후보들과 헤드헌팅업체가 추천하는 외부 후보들이 후보군을 구성한 후 서면평가, 평판조회, 심층면접 등을 거쳐 최종 후보를 선정한다.

국민은행장 선임은 KB금융 회장과 사외이사 2명으로 이뤄진 계열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에서 맡는다. 임 회장이 사퇴한다면 사외이사 2명만 남게 돼 선임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지난해 임 회장 선임 때는 5월 초 회추위 가동 때부터 6월 12일 임 회장의 후보 선정 때까지 한 달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행장 선임도 6월 5일 민병덕 전 행장의 사임 때부터 7월 18일 이 행장 내정 때까지 적잖은 시간을 보냈다.

두 수장이 모두 사퇴하면 국민은행은 당분간 부행장 대행체제로 갈 가능성이 크다. KB금융은 임 회장이 사장 직제도 폐지한 만큼 수장 자리가 공석으로 남게 된다. KB금융그룹 초유의 경영 공백이 불가피한 셈이다.

차기 수장의 선임 과정도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사실상 외부 인사인 임 회장과 이 행장이 들어와 1년여 만에 물러나는데다 금융권 낙하산 인사에 대한 비판 여론이 어느 때보다 높은 만큼, 차기 수장은 내부 인사나 민간 금융회사 최고경영자 출신이 선임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KB금융그룹이 극심한 경영위기를 겪은 만큼 노조 등에서 철저한 검증과 내부 구성원의 동의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 선임 과정상의 진통은 어느 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성낙조 국민은행 노조위원장은 “KB금융그룹 뿐 아니라 대한민국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관치금융은 더는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KB 내부 사정에 정통하고 경험과 능력을 갖춘 내부 인사가 반드시 선임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