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단통법 보안책 촉구에 통신업계 ‘고심’

정부 단통법 보안책 촉구에 통신업계 ‘고심’

입력 2014-10-17 00:00
업데이트 2014-10-17 14: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에 대한 비판 고조와 함께 정부가 이동통신사와 휴대폰 제조사를 상대로 압박을 강화하면서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단통법 위해 모인 정부와 이통사·제조사
단통법 위해 모인 정부와 이통사·제조사 최양희 미래부 장관과 최성준 방통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이통3사와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사 사장단과 간담회를 갖고 단통법 시행과 관련한 협조를 당부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과은 17일 오전 서울의 한 호텔에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와 삼성전자, LG전자 등 단말기 제조사 대표들과 만나 단통법 보안책을 논의했다.

두 부처 수장은 이 자리에서 “기업의 이익을 위해 단통법을 이용할 경우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 “단통법을 살릴 수 있도록 이통사와 제조사가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하며 이통사와 제조사를 압박했다.

최근 국정감사 등에서 단통법 부작용에 대한 지적이 잇다른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이처럼 압박 수위를 강화하고 나선 만큼 업체들도 조금 더 적극적인 보안책을 내놓을 전망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정부가 ‘특단의 대책’까지 언급한 마당에 뭔가 대안을 내놓아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조만간 보조금 인상 등이 단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른 이통사 관계자는 “체감 혜택이 큰 쪽으로, 멤버십 혜택이나 결합 할인 강화 등을 추진하지 않을까 싶다”면서 “내부적으로 여러 안을 놓고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시장에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일부 있다.

이날 간담회에 앞서 모 이동통신 업체 대표가 “단통법이 통신사 배불리는 정책이 절대 아니다”며 “(단통법에) 여러 오해와 진실이 있다”고 밝힌 점이나 삼성전자의 이상훈 사장이 “(단통법 문제) 잘 해결돼서 이런 회의 가능한 안 하는 게 좋겠다”고 밝힌 점은

이번 간담회에 대한 기업인들의 솔직한 심정이 녹아있다고 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우리는 민간기업이고 가격을 책정할 권한이 있는데 정부가 이렇게 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어느 법이든 효과를 거두려면 시간이 필요한데 법 시행 보름만에 뭔가를 더 내놓으라고 하면 어쩌느냐”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결국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대안은 보조금 증액밖에 없는데 보조금을 한도액까지 준다고 한들 불만이 안나오겠느냐”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이날 간담회에서 정부측이 며칠내로 가시적인 대책을 내놓을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내주중에 각사별로 통신비 인하나 보조금 인상 등 정부측 요구에 호응할 수 대책이 나오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