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어쩌나…한파·폭설로 채소값 1주일새 27~67%↑

김장 어쩌나…한파·폭설로 채소값 1주일새 27~67%↑

입력 2014-12-04 00:00
업데이트 2014-12-04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위 약한 시금치·대파·깻잎·배추 등 피해 커…작년보다 60% 비싼 품목도

예년보다 안정적이었던 겨울철 채소값이 12월 들어 갑자기 떨어진 기온과 폭설로 들썩이고 있다.

이미지 확대
12월 들어 갑자기 떨어진 기온과 폭설로 겨울철 채소값이 들썩이는 가운데 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구입하고 있다. 이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3일 기준 30가지 주요 채소 도매가격은 지난주 평균과 비교해 27~67% 올랐다. 연합뉴스
12월 들어 갑자기 떨어진 기온과 폭설로 겨울철 채소값이 들썩이는 가운데 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구입하고 있다. 이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3일 기준 30가지 주요 채소 도매가격은 지난주 평균과 비교해 27~67% 올랐다.
연합뉴스
4일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가락시장에 따르면 3일 기준 30가지 주요 채소 도매가격은 지난주 평균과 비교해 27~67% 올랐다.

품목별로는 시금치(4㎏ 상자·하품)가 65.9%(4천48원→6천716원) 뛰었고, 대파(1㎏ 단·상품)·적환무(100개·상품)·알배기 배추(8㎏ 상자·상품)·가지(8㎏ 상자·상품)도 각각 62.7%, 59.9%, 53%, 47.2% 상승했다.

이 밖에 홍피망(10㎏ 상자·중품)·양상추(8㎏ 상자·하품)·깻잎(100속·중품)·청상추(10㎏ 상자·특품)·청양고추(4㎏ 상자·하품)·알타리무(2㎏ 상자·중품)의 상승폭도 모두 30%를 넘었다.

현재 채소류 가격은 지난주뿐 아니라 작년 이맘때와 비교해도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조선 애호박(20개·상품)과 무(18㎏ 상자·상품)는 각각 2만1천385원, 1만4천637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점보다 60%나 비싸다.

올해 따뜻한 날씨 덕에 작황이 전반적으로 좋아 채소값은 지난달 말까지만해도 줄곧 약세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나, 불과 몇 일 사이 상황이 크게 바뀐 것이다. 특히 추위에 약한 시금치·대파·배추·깻잎 등 엽체류의 한랭 피해가 컸다.

이에 따라 급격한 채소 시세 변화로 커진 소비자 부담을 덜기 위한 유통업계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롯데마트는 이날부터 10일까지 채소 20여종을 기존 가격보다 많게는 40%까지 싸게 내놓는다. 주요 할인 품목과 가격은 ▲ 친환경 무(1개) 1천100원 ▲ 섬 시금치(100g) 580원 ▲ 대파(1단) 1천700원 ▲ 애호박(1개) 1천280원 등이다.

조정욱 롯데마트 채소팀장은 “급작스런 폭설과 한파로 채소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며 “그러나 한파 전에 미리 확보한 물량을 바탕으로 1주일 동안 저렴한 가격에 채소를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