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입차 부품, 외국보다 훨씬 비싸…최대 2.5배差

국내 수입차 부품, 외국보다 훨씬 비싸…최대 2.5배差

입력 2014-12-04 12:00
업데이트 2014-12-04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수입차 부품 가격이 외국에서 팔리는 것보다 훨씬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시민모임은 공정거래위원회 지원을 받아 수입 자동차 5개 차종의 6개 부품 가격을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30개 부품 중 23개 부품의 국내 판매 가격이 외국(독일·미국) 평균 가격보다 높았다고 4일 밝혔다.

크라이슬러 300C는 6개 부품 모두, 아우디 A6와 벤츠 E300은 5개 부품, 렉서스 300h는 4개 부품, BMW 520d는 3개 부품이 해외 평균가격보다 국내 가격이 비쌌다.

렉서스 300h 앞 휀다의 경우 국내 판매가는 69만1천원으로 독일(27만6천원)보다 2.5배, 미국(39만4천원)보다 1.8배 비쌌다. 헤드램프(224만9천원)는 독일(91만5천원)과 미국(109만5천원)과 비교해 각각 2.5배, 2.1배 가격이 높았다.

벤츠 E300은 한국에서 앞 범퍼(71만8천원)와 뒤 범퍼(88만6원)가 수입국인 독일(51만원·62만9천원)보다 각각 1.4배 비싸게 팔리고, 헤드램프(295만1천원)는 독일(230만원)보다 1.3배, 미국(168만5천원)보다 1.8배 비쌌다.

2천㏄ 동급 중형차 기준으로 자동차 가격은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평균 2.9배 비싸지만, 부품 가격은 4.6∼6배 더 나갔다.

아울러 국산·수입 자동차 9개 차종 30개 부품의 국내 판매가를 조사해보니 정비업소 유형에 관계없이 가격이 비슷하고, 수입차 부품은 일부 일반 정비업소 가격이 공식 업소보다 비쌌다.

국내에서 수입차 부품이 비싼 것은 독점적인 수입·유통구조의 영향이 크다고 소비자시민모임은 설명했다. 브랜드별로 독점적인 공식 수입업체를 통해 부품을 수입하고, 정해진 공급업체를 통해 파는 구조가 굳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쟁으로 가격이 형성되지 않고, 업체의 고가 마케팅 전략에 따라 가격이 정해진다는 것이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순정부품 외에도 대체부품 등의 유통을 활성화해 부품 가격을 내리고, 수입업체가 적정한 유통 마진을 책정해 합리적인 가격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8월부터 시행한 ‘인터넷 자동차 부품가격 공개제도’에 대해 차량 소유자 1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가 부품 가격 확인이 어렵다고 답해 제도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