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석탄 수입하는 나라에는 신재생 에너지가 안보에 기여”

“석유·석탄 수입하는 나라에는 신재생 에너지가 안보에 기여”

입력 2014-12-13 00:00
업데이트 2014-12-13 0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버거 ‘日신재생에너지’ 이사장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발전으로 각국의 에너지 안보에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토마스 카버거 일본 신재생 에너지 재단 이사장
토마스 카버거 일본 신재생 에너지 재단 이사장
12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진행된 ‘제2차 동북아 에너지안보 포럼’에 참석한 토마스 카버거(53) 일본 신재생 에너지 재단 이사장은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신재생 에너지가 국가의 사회안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카버거 이사장은 “석유나 석탄 등의 원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야 하는 국가에 있어서 에너지 안보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라면서 “대부분의 나라는 에너지 수입에 차질이 생길 경우 사회 기반마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생 에너지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에너지 자급률이 높아지면 이런 국가의 사정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재생 에너지 산업 성장은 세계적 추세이며 최근 들어 중국·일본 등 아시아의 성장이 두드러진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 태양광 발전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2010년 992MW(메가와트)에 불과했던 일본의 태양광 시장 규모는 지난해 9414MW로 10배 가까이 급증했다. 중국은 2000년대 초반부터 풍력 발전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2013년 기준으로 90GW(기가와트)를 발전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풍력 에너지를 생산하는 국가가 됐다.

재생 에너지 산업의 경제적 가치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카버거 이사장은 “여러 국가끼리 서로 전력망으로 연결하는 것은 경제적 이점이 크다”면서 “인접 국가 사이에 외교적 갈등이 있어 이러한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이지만 정치인들은 자신이 재생 에너지 부분에 대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주길 희망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인접 국가와의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4-12-13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