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향수 물가 고려땐 한국이 가장 비싸

수입향수 물가 고려땐 한국이 가장 비싸

입력 2014-12-13 00:00
업데이트 2014-12-13 0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화점 평균 판매가 8만 3308원

수입 향수의 국내 판매 가격이 물가 수준을 고려할 때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일본 등보다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수입 향수 14개 브랜드 21개 제품의 온라인 평균 판매가(명목환율로 환산)를 비교한 결과 프랑스(6만 2829원), 이탈리아(5만 9885원), 한국(5만 7436원), 미국(5만 2183원), 일본(4만 2379원) 순으로 비쌌다고 14일 밝혔다. 가격 비교지수는 한국을 100으로 놓았을 때 프랑스 109.4, 이탈리아 104.3, 미국 90.9, 일본 73.8이다. 하지만 명목환율에 상대의 물가 수준을 곱한 구매력 평가(PPP) 환율을 적용하면 한국이 5만 7354원으로 5개국 중 가장 비쌌다. 이탈리아(5만 428원)와 프랑스(4만 7329원), 미국(4만 2146원), 일본(3만 6941원)이 뒤따랐다. 비교지수는 한국 100, 이탈리아 87.9, 프랑스 82.5, 미국 73.4, 일본 64.4다. 녹색소비자연대는 물가 수준을 고려하면 한국에서 판매되는 향수가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비싸다고 지적했다.

유통 채널별 가격을 보면 13개 향수 제품의 평균 판매가는 백화점이 8만 3308원으로 가장 비쌌다. 그 뒤는 올리브영 등의 드럭스토어(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잡화점에서 약품도 판매·7만 677원), 면세점(6만 928원), 온라인(5만 1020원) 순이었다. 향수를 쓰는 여성소비자 500명을 조사한 결과 향수 구입처는 면세점이 22.4%로 가장 많았다. 백화점(21.2%)과 온라인 종합몰(11.2%), 온라인 오픈마켓(11%), 드럭스토어(9.6%)가 그 뒤를 이었다. 제품 구매 때 가격(23.6%)보다 정품 판매 등의 신뢰성(53.6%)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답변이 더 많았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12-13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