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말정산 미혼 직장인 세금↑…사실상 ‘싱글세’?

올해 연말정산 미혼 직장인 세금↑…사실상 ‘싱글세’?

입력 2014-12-29 15:39
업데이트 2014-12-29 1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4. 12. 23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4. 12. 23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올해 연말정산에서 미혼 직장인의 세금 부담이 크게 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실상 ‘싱글세’가 이미 도입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9일 한국납세자연맹에 따르면 작년 개편된 세제를 적용, 연봉 2360만원∼3800만원 미혼 직장인의 올해 납세액을 산출해보니 연봉에서 가장 먼저 빼주는 근로소득공제는 24만 7500원 줄어든 반면 근로소득세액공제 증가는 7만 4250원에 그쳤다.

만약 연봉 3000만원인 미혼자라면 총 90만 7500원을 근로소득세로 내야 해 2013년 73만 4250원보다 17만 3250원이 늘어난다는 계산이다.

연맹 관계자는 “본인 기본공제와 4대 보험료 공제 외에는 다른 공제 요인이 없는 미혼 근로소득자에게 사실상 ‘싱글세’(독신세)가 신설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봉 3870만∼6530만원 사이 미혼 직장인은 다른 공제액이 없다고 할 때 작년보다 세금이 최고 5만 2250원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봉 6600만원 이상인 미혼 직장인은 세금이 작년보다 급증한다.

이와 관련, 정부는 2014년 귀속 소득세법 개정 당시 연봉 5500만원 이하 중·저소득층에서는 증세가 없고, 연봉 6000만∼7000만원 사이에서는 3만원 증세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납세자연맹은 “개인의 소득공제 종류와 공제효과에 따라 증세 편차가 아주 크기 때문에, 이번 연말정산에서 많은 근로자가 세금 폭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월세세액공제를 받는 직장인 등 일부만 환급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선택 납세자연맹 회장은 “내년 1월이면 지난해 세제개편 때 정부가 내놓은 근로소득자들의 세금증감효과 세수추계가 맞지 않는게 드러날 것”이라며 “연말정산 자동계산기로 올해 놓친 공제가 없는지 미리 체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