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서울광고대상-심사평] 광고는 ‘기업 메시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 창출

[제21회 서울광고대상-심사평] 광고는 ‘기업 메시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 창출

입력 2015-11-24 17:44
업데이트 2015-11-24 1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은 그들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세상을 더 나아지게 만들고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한다는 점에서 참으로 고마운 존재다. 그런 기업이 광고라는 ‘기업 메시지’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하는 일까지 한다면 기업의 사회적 가치는 더 높아질 것이다. 올해 서울광고대상 수상작들을 보면서 기업이 광고라는 ‘기업 메시지’를 통해 우리 사회와 사람들에게 어떤 역할을 하고 얼마나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조병량 심사위원장
조병량 심사위원장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SK텔레콤 ‘연결의 무전여행’ 캠페인은 기술 차원의 ‘연결’을 넘어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과 사람의 연결’ ‘마음과 마음의 연결’의 의미를 무전여행이라는 실제 상황을 통해 전달하고 있는 점이 돋보였다. 광고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회적 키워드를 제시하고 이를 사람 사는 사회의 차원으로 확산시키고 있는 점에서 기업의 철학과 실천 의지가 잘 드러나는 캠페인이었다. 기업PR상을 수상한 두산의 ‘사람이 미래다’ 시리즈광고 역시 열세 번째 이야기를 통해 젊은이들을 위로하고 응원하는 메시지의 편안함과 따뜻함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점은 ‘사회적기업’의 가치와 역할을 새롭게 제시한 SK 광고에서도 잘 나타났다. 최우수상을 받은 삼성전자의 지펠 아삭 광고는 제품을 갖고 싶도록 만드는 힘이 높게 평가되었고, 우수상의 롯데백화점 광고는 광복 70년의 나라 사랑 애국정신을 실제 후원활동과 연결한 점이 주목을 받았다. KB금융그룹은 신뢰받는 금융 이미지를 ‘국민든든’이라는 카피로 잘 표현했고, 마케팅상의 LG 올레드TV 광고는 제품 특성이 비주얼로 잘 부각되는 광고였다.

부문별 우수상 수상작들 역시 컨셉트의 차별화, 존재감이 돋보이는 제품 제시, 완성도 높은 비주얼과 카피 등에서 신문광고의 장점을 잘 살린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기업이나 상품의 존재감을 높이고 알리는 광고의 힘이 잘 드러나는 광고들이었다.

‘세상을 더 나아지게 만들고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광고’. 기업이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 창출을 위해 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바로 이 광고라는 ‘기업 메시지’를 보다 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

서울광고대상에서 수상한 광고주, 광고회사, 광고인 모두에게 축하를 보낸다.

조병량 심사위원장
2015-11-25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