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조 넘은 자영업자 빚… 생계형, 금리 오르면 ‘시한폭탄’

480조 넘은 자영업자 빚… 생계형, 금리 오르면 ‘시한폭탄’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7-03-24 22:48
업데이트 2017-03-24 2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행 등 금융권 대출 1년 새 57조 늘어

가구당 1억1300만원… 근로자의 1.5배
24%가 생계형 가구… 부채 ‘질’도 나빠

자영업자들의 부채가 480조원을 넘어섰다. 생계형 자영업자의 경우 대출 금리가 조금만 상승해도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24일 한국은행이 금융안정점검회의에 보고한 ‘자영업자 대출 건전성’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자영업자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금은 480조 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2015년 말(422조 5000억원)과 비교해 13.7%(57조 7000억원) 늘었다. 자영업자 대출은 2012년 318조 8000억원, 2013년 346조 1000억원, 2014년 372조 3000억원, 2015년 422조 5000억원 등 꾸준히 늘고 있다. 자영업자 대출 가운데 사업자 대출은 308조 7000억원이고 가계 대출은 171조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채무 상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자영업자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1억 1300만원(지난해 3월 말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가구 평균 부채(7700만원)의 1.5배 수준이었다. 자영업자의 가구 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LTI)은 181.9%로 상용근로자(119.5%)보다 62.4% 포인트나 높았다.

빚이 있는 자영업자 가구 중 소득하위 40%에 속하는 ‘생계형 가구’는 지난해 3월 말 기준 69만 6000가구로 전체의 23.8%를 차지했다. 생계형 가구의 업종별 비중은 음식점업(26.7%)과 소매업(21.6%)이 높았다. 생계형 자영업자의 평균 금융부채는 4700만원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지만 LTI 비율은 220.9%로 건전성이 크게 떨어졌다.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연체를 경험한 가구의 비중도 9.8%나 됐다.

허진호 한은 부총재보는 “앞으로 시장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대출 금리가 계속 오르면 자영업자들이 곤란해질 수 있다”며 “특히 소매업과 음식업 등 생계형 창업이 많은 분야의 부채 상환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3-25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