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고령화 심한데’…한국 복지지출은 OECD 절반

‘양극화·고령화 심한데’…한국 복지지출은 OECD 절반

입력 2017-04-16 14:27
업데이트 2017-04-16 14: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은행 “복지 수준·부담에 대한 사회적 합의 시급”

우리나라의 복지지출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6일 발간한 ‘가계 시리즈(1) : 글로벌 사회복지지출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복지지출 비중은 9.7%였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인 21.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다만 우리나라는 그동안 복지지출 비중이 워낙 낮았던 탓에 증가 속도는 빠른 편이다.

GDP 대비 복지지출 비중은 1990년 2.7%에서 24년 사이 7.0% 포인트(p) 높아졌다.

같은 기간 OECD 회원국의 평균 상승 폭인 4.1%포인트를 크게 웃도는 셈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복지지출은 OECD 평균보다 보건, 가족, 노동시장에 관한 지출비중이 높지만 노령지출 비중은 작다”며 “우리나라는 연금제도가 도입된 지 오래되지 않았고 그동안 고령화율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기초생활보장제도는 2000년에 도입됐다.

도입 시기가 미국(1974년), 프랑스(1988년), 캐나다(1964년), 독일(1961년), 일본(1950년) 등 주요 선진국보다 훨씬 늦었다.

또 우리나라에 국민연금이 도입된 시기는 1988년이다.

미국(1935년), 프랑스(1905년), 캐나다(1966년), 일본(1940년), 독일(1889년) 보다 길게는 100년 가량 늦은 셈이다.

보고서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복지제도가 성숙하고 양극화, 고령화 등 다양한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복지지출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저출산 등 인구구조 변화로 국가부채가 크게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령화를 비롯한 사회적 여건과 경제력 등을 고려해 현 세대와 미래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복지 수준과 부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복지지출을 통한 소득재분배가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많이 부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5년 보고서를 통해 하위 20% 계층의 소득비중이 1%포인트 상승하면 성장률이 5년 간 0.38%포인트 높아지지만, 소득 상위 20%의 소득비중이 1%포인트 오르면 성장률이 0.08%포인트 낮아진다는 분석을 내놨다.

우리나라의 분배지표는 최근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을 소득 1분위(하위 20%) 평균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4.48배로 8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