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 ‘박근혜 경제교사’서 ‘새정부 경제설계자’로

김광두, ‘박근혜 경제교사’서 ‘새정부 경제설계자’로

입력 2017-05-21 13:43
업데이트 2017-05-21 1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정부 초대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문재인 정부의 초대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으로 임명된 김광두 서강대 석좌교수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사로 불렸다.

김 교수는 은사인 남덕우 전 국무총리의 소개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를 만나 2007년 한나라당 당내 경선 시절부터 경제 정책 구상을 도와왔다.

이때부터 김 교수 앞에는 박근혜의 경제 가정교사라는 별명이 붙었다.

당시 내놓은 ‘줄·푸·세(세금 줄이고, 규제 풀고, 법질서 세우기)’ 경제공약을 만들었다.

2010년에는 국가미래연구원을 만들어 박 전 대통령의 싱크탱크 역할을 했으며, 2012년에는 새누리당 힘찬경제추진단장을 맡아 박 대통령의 경제공약을 총괄 디자인했다.

김 교수가 올해 초까지 원장으로 일했던 국가미래연구원은 지난 정부에서 장·차관 및 청와대 수석을 열 명 넘게 배출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예상과 달리 아무런 자리도 맡지 않은 채 박근혜 정부와 거리 두기에 나섰고, 국가미래연구원은 박 전 대통령의 싱크탱크가 아닌 독립된 개혁적 보수의 싱크탱크라며 독립을 선언하기도 했다.

2015년에는 “내 이름 앞에 ‘박 대통령 경제 가정교사’라는 호칭이 붙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표현은 이제 적절하지 않다”며 박 전 대통령과 결별을 선언했다.

실제 국가미래연구원은 박근혜 정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많이 냈으며, 진보 진영 경제·사회단체와 합동 토론회를 진행하며 사회통합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던 김 교수는 지난 3월 이번 대선에서 당시 문재인 후보의 대선 경선 캠프에 합류했고 ‘새로운 대한민국 위원회’를 구성, 위원장을 맡았다.

또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일자리를 만들어 경제를 성장시키겠다는 문 후보의 경제 정책인 ‘J노믹스’를 설계하기도 했다.

정치권이나 학계에서는 김 교수를 ‘개혁적 보수’로 평가한다.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히 풀어 시장의 자율을 주는 대신 엄격한 법집행으로 시장 질서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 김 교수의 경제 철학이다.

김 교수는 이번 대선에서 경제 공약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공약이 과도하게 ‘좌클릭’ 될 때는 시장경제의 기반을 벗어나지 않도록 ‘톤 다운’을 하는 데 많은 역할을 했다.

정부에 들어선 만큼 공약을 만들 때와 마찬가지로 경제 정책이 과도하게 반 시장적으로 가지 않도록 균형자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지난 대선에서 문 후보가 과도하게 큰 정부를 추구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자 “큰 정부·작은 정부는 상대적 개념이고 경제 사이클에 따라서 달라진다”며 “시장의 키플레이어는 민간”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과거 박 전 대통령의 ‘줄·푸·세’ 공약을 만들어 감세론자라는 시각도 있지만 본인 스스로 “세금 정책은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것”이라며 유연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 전남 나주(70) ▲ 서강대 경제학과 ▲ 하와이대학교 대학원 박사 ▲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 ▲서강대 부총장 ▲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서강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