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간 거래 2000조 육박… 부실 땐 ‘전염’

금융사 간 거래 2000조 육박… 부실 땐 ‘전염’

장세훈 기자
입력 2017-07-10 23:34
업데이트 2017-07-11 0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년 새 69조 9000억 급증…비은행권끼리 거래가 57%

우리나라 금융사들 사이에 이뤄지는 상호거래 규모가 20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상호거래 자금은 지난해 말 현재 1970조원이다. 1년 전보다 69조 9000억원(3.7%) 증가했다. 상호거래는 예금과 대출, 파생상품 등 각종 금융상품으로 연계된 자금을 의미한다. 금융사 상호거래 총액은 2011년 말 1416조 4000억원에서 2012년 1573조 2000억원, 2013년 1639조원, 2014년 1784조 1000억원, 2015년 1900조 3000억원 등으로 늘고 있다.

상호거래 주체별로는 비은행권 간 거래가 1137조원(57.7%), 은행·비은행권 거래 749조원(38.0%), 은행권 내 거래 84조원(4.2%) 등이었다. 상품별로는 예금(456조 3000억원)과 채권(448조 6000억원)이 전체의 23.2%, 22.8%를 각각 차지했다. 이어 주식 19.0%(375조 2000억원), 대출 5.4%(106조원), 파생금융상품 4.2%(82조 3000억원) 등의 순이다.

경제 규모가 커질수록 금융사 간 거래도 늘어날 수밖에 없지만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규모가 크면 ‘전염’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개별 금융사가 부실해졌을 때 그 충격이 다른 금융사로 번지면서 금융시장 전체가 흔들릴 위험이 있는 것이다. 앞서 2003년 ‘카드 사태’ 때도 카드사 부실이 은행 등 다른 업권으로 전이되면서 시장이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07-11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