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돼도 2031년엔 초고령사회…4∼5년 지연 효과”

“통일돼도 2031년엔 초고령사회…4∼5년 지연 효과”

입력 2017-07-20 13:34
업데이트 2017-07-20 1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은행 보고서…“통일후 북한 출산율 급감하면 효과 감소”

남북이 통일되면 대한민국 고령화가 다소 늦춰지는 효과가 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지영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20일 ‘통일과 고령화’ 보고서에서 “남북한 인구가 통합되면 고령화 수준은 남한 인구만 고려한 경우보다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북한은 남한보다 합계출산율(여자 한 명이 가임기간인 15∼49세에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이 높고 유소년(0∼14세) 인구 비중은 높으며 기대여명(더 살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이 낮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한 인구만 고려하면 고령사회와 초고령사회 진입 시점은 각각 2017년과 2026년이지만, 북한 인구가 남한에 통합되면 각각 2021년과 2031년으로 고령화 진행이 4∼5년 지연되는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비중이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규정된다.

보고서는 남북한 통일에 따른 인구통합 시점을 2020년으로 설정하고 평화통일로 인구 손실이 없을 것으로 가정했다.

2015년 기준 북한 고령인구 비중은 9.5%로 남한(13.1%)보다 인구 구조가 젊다.

북한 합계출산율은 2015년 기준 1.94명으로 남한(1.39명)보다 높다. 유소년 인구 비중도 21.2%로 남한(14.0%)에 비해 높다.

2020년 남북한 인구가 통합하면 총인구는 7천700만명이고 고령인구 비중은 13.5%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가정에서 2065년 고령인구 비중은 31.9%로 추계됐다. 남한 인구만 고려한 경우(37.9%)보다 약 6% 포인트(p) 낮은 수치다.

다만, 보고서는 독일통일을 사례를 토대로 북한 지역 출산율이 감소하는 시나리오도 상정했다.

1990년 동독지역 합계출산율은 1.52명이었지만 1994년에는 0.77명으로 반토막이 났다.

동독지역 젊은 여성이 서독으로 이동하고 동독 내 출산 및 육아 시스템이 미흡한 점이 원인으로 풀이됐다.

마찬가지로 통일 직후 북한 내 출산율이 급락하면 2065년 남북한 고령인구 비중은 남한 인구만 고려했을 때보다 3.0∼4.5%p 낮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통일로 인한 남북한 인구통합은 남한 고령화 문제를 다소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면서도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출산율이 하락하고 기대여명이 남한 수준으로 수렴하면 통일한국 인구고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다만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출산율이 높아지면 기대여명이 올라가더라도 통일한국 인구고령화를 상당 부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일 이후 북한 내 보육, 보건의료 여건이 개선되면서 출산율이 상승하는 시나리오에서는 고령인구 비중이 2065년에 6.5%p나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