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은 내걱정, 5060은 가족걱정…자녀·손주위한 지출도 많아”

“2030은 내걱정, 5060은 가족걱정…자녀·손주위한 지출도 많아”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7-07 13:51
업데이트 2019-07-07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화생명 빅데이터 분석…“50∼60대, 은퇴준비도 ‘스스로’”

은퇴 시기를 전후한 50∼60대는 주로 ‘가족’을 걱정하며, 이들은 자녀뿐 아니라 손주를 위한 경제적 부담까지 크게 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화생명이 7일 주요 인터넷 카페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게시물 약 20만건(2017년 8월∼2018년 11월)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50∼60대의 게시물 중 가족을 주제로 한 비중은 18.6%로 20∼30대(3.2%)보다 컸다.

50∼60대는 게시물에서 주로 가족, 자식, 미래, 일자리, 노후 등 가족의 일을 걱정한 반면, 20∼30대는 직장, 사랑, 친구, 야근 등 자신을 둘러싼 걱정이 많았다고 한화생명은 분석했다.

50∼60대의 ‘가족 걱정’은 지출 행태에서도 엿보였다.

한화생명이 한 대형 카드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50대의 자녀 관련 카드지출은 등록금(23.7%)과 학원(23.1%) 위주, 60대는 유치원(25.7%)과 학원(18.9%) 위주였다.

한화생명 공소민 빅데이터팀장은 “50대에 자녀의 졸업 등으로 등록금과 학원 비용이 감소할까 싶으면, 60대 들어 손자녀의 유치원비를 감당해야 하는 현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는 인형, 완구, 아동 자전거 등 어린이용품에 대한 카드 지출액이 40대(월 7만3천원)나 50대(7만5천원)보다 60대(8만2천원)가 더 많다는 통계청 사회조사에서도 엿볼 수 있다고 공 팀장은 전했다.

통계청 조사에서 50∼60대가 ‘자녀와 동거하는 이유’에 대해 손자녀 양육 때문이라고 답변한 비율은 2007년 13%에서 2017년 35%로 약 3배가 됐다.

한화생명이 고객 500만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저축보험 평균 월납 보험료는 50∼60대가 49만4천원으로 30∼40대 35만4천원보다 14만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대비 납입 비율도 50∼60대(6.7%)가 30∼40대(5.4%)보다 높았다.

공 팀장은 “자녀, 손자녀까지 걱정하는 50∼60대가 은퇴 후 준비도 스스로 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며 “자녀에게 짐이 되지 않으려는 생각이 많아진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부모 부양에 대한 통계청의 2008년 조사에선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50∼60대의 응답 비중이 15.4%였지만, 2018년 조사에선 21.3%로 커졌다.

50∼60대는 의료비 부담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생명 50∼60대 고객의 1인당 평균 실손보험금 지급액은 2013년 77만7천원에서 2018년 94만5천원으로 21.6% 증가했다. 입원은 130만원에서 177만원으로, 통원은 27만4천원에서 40만2천원으로 각각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