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vs 수협중앙회... 수협은행장 후보 또 못 뽑았다

정부 vs 수협중앙회... 수협은행장 후보 또 못 뽑았다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2-11-07 17:12
업데이트 2022-11-07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공모했지만 결론 못 내
오는 15일 재논의 하기로

수협은행. 연합뉴스
수협은행. 연합뉴스
차기 수협은행장 최종 후보 선정이 또 불발됐다.

수협은행 행장추천위원회(행추위)는 7일 차기 은행장 재공모에 지원한 신현준 한국신용정보원장, 강철승 전 중앙대 교수에 대한 추가 면접을 했다. 행추위는 이날 추가 면접한 2명과 앞서 면접한 김진균 현 수협은행장 등 5명을 놓고 논의했지만 끝내 최종 후보를 내지 못 했다.

행추위는 오는 15일 최종 후보를 재논의한다. 정부측 사외이사 3명, 중앙회 인사 2명으로 구성된 행추위 5명 가운데 4명 이상이 동의해야 최종 후보가 된다. 정부와 중앙회가 합의하지 않으면 결론에 도달할 수 없다.

김진균 행장의 임기는 오는 10일로 끝난다. 현 행장 임기가 지나도록 차기 행장 최종 후보를 뽑지 못한 것이다. 이 극심한 진통의 배경에는 자기 쪽 사람을 수장으로 앉히려는 정부와 수협중앙회의 오랜 알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2017년 행추위가 재재공모 끝에 우리은행 출신의 이동빈 전 행장을 최종 후보로 결정하고, 2020년 행추위가 재공모 끝에 김진균 행장을 최종 후보로 선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앞서 지난달 25일 행추위는 김진균 행장, 강신숙 수협중앙회 부대표, 권재철 전 수협은행 수석부행장, 김철환 전 수협은행 부행장, 최기의 KS신용정보 부회장 등 5명을 면접했다. 그러나 위원간 합의가 무산돼 재공모를 했다.

업계에 따르면 추가 면접 후 행추위 논의에서도 정부와 수협회의 의견이 상당히 갈렸다. 정부는 최기의 부회장을 선호하고 중앙회는 강신숙 부대표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처럼 김진균 행장이 ‘어부지리’로 당선돼 연임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2020년 당시 최종 후보를 놓고 갈등하던 정부와 중앙회는 한발씩 양보해 김진균 행장으로 타협했다. 이번에도 김 행장은 정부 쪽과 중앙회 쪽 모두의 무난한 반응을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행장은 차기 행장이 선출될 때가지 임기를 이어간다.
강신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