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 이내 퇴사

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 이내 퇴사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4-11-03 13:07
수정 2024-11-03 13: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에 하락, 격차 확대

이미지 확대
최근 10년 간  고용보험 취득 일자리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 한국고용정보원
최근 10년 간 고용보험 취득 일자리의 1년 이상 고용유지율. 한국고용정보원


신규 취업한 임금 근로자 10명 중 4명만 취업 1년 후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이 40.1%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에서 신규 취업한 일자리의 유지된 비율을 분석한 자료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로 40% 초반대를 유지하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하락했다. 취업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그만둔 것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 자료를 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 2021년 70개월, 2024년 76개월로 증가한 것과 대조된다. 보고서는 근속기간만 보면 고용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소폭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신규 취업자가 줄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줄면서 평균 근속기간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는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보다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하락했고 성별·연령별·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고용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이 직격탄을 맞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며 “고용 유지율 변화를 산업 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