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3 가격 얼마길래 ‘공짜’?…6·10 대란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보니

G3 가격 얼마길래 ‘공짜’?…6·10 대란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보니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G3
G3


G3 가격 얼마길래 ‘공짜’?…6·10 대란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보니

한밤중 난데없는 보조금 광풍이 불었다. 지난 10일 자정 최신 휴대전화인 LG G3와 삼성 갤럭시 S5가 공짜로 판매됐다. 올들어 부쩍 늘어난 심야 보조금 광풍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가 단속을 강화했지만 또 다시 보조금 대란이 벌어진 것이다.

10일 자정을 전후로 한 휴대전화 매매 커뮤니티에서 G3와 갤럭시S5ㆍ갤럭시 노트3, 아이폰5s 등이 모두 0원에 판매됐다. 현재 갤럭시 노트3의 출고가가 106만7000원, 갤럭시S5와 G3가 각각 86만6800원, 89만9900원인 점을 감안하면 합법적인 보조금 상한선(27만원) 외에 60여만원에서 최대 80여만원의 불법 보조금이 지급된 셈이다.

방통위의 단속 강화로 불법 보조금 지원 행태도 바뀌었다. 보조금을 실어 휴대전화 가격 자체를 낮춰 팔았던 기존 방식에서 보조금 대신 통장으로 현금을 돌려주는 ‘페이백’ 방식이 늘었다는 것이 현장의 분석이다. 판매자가 약속을 어기고 ‘페이백’을 하지 않는 위험을 감수하고 공짜폰을 사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페이백’을 미끼로 사기를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판매자들도 고객이 ‘폰파라치’일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하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큰 것은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들도 이런 위험을 감수하고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방통위는 지난달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불법 보조금 사실 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동통신 3사가 68일간의 영업정지를 마친지 얼마되지 않아 또 다시 판매 경쟁이 과열되면서 내린 조치다. 특히 방통위는 시장 과열을 주도한 것으로 판단되는 1개 사업자에 대해 특별 집중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 이통 3사 간의 ‘눈치싸움’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