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리콜차량 2천만대 넘어서…47만5천대 또 리콜

GM 리콜차량 2천만대 넘어서…47만5천대 또 리콜

입력 2014-06-29 00:00
업데이트 2014-06-29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2분기 리콜 수리비만 최소 2조290억원 책정

미국 최대 자동차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의 리콜 대상 차량이 급기야 2천만대를 넘어섰다.

2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은 제너럴모터스가 자사의 주력 차종인 픽업트럭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에 대해 추가로 리콜을 선언, 지난 2월부터 시작된 리콜 사태의 대상 차량이 2천만대를 넘었다고 보도했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 전세계 모든 자동차업체의 리콜차량 대수인 2천200만대를 넘어서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제너럴모터스는 지난 27일 일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과 픽업 모델에서 소프트웨어(SW) 문제가 확인돼 미국과 캐나다에서 47만5천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대상 차량은 2014∼2015년형 쉐보레 실버라도와 GMC 시에라 45만여대다.

이들 차량은 컨트롤 모듈 소프트웨어가 운전자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중립 상태로 변경될 수 있어 주차할 때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놓지 않으면 저절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GM은 이같은 문제로 사고가 발생해 보고된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2013∼2014년형 쉐보레 카프리스 경찰차량과 2014년형 쉐보레 SS 스포츠 세단에서 4천800대, 2014년형 쉐보레 코르베트 2천50대가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리콜 대상 차량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자 리콜 관련 수리비용도 엄청나게 불어났다.

벌써 제너럴모터스는 올해 2분기에만 20억달러(2조290억원)를 리콜 관련 예산으로 책정해둔 상태이나 이 비용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는 조만간 제너럴모터스에 ‘결함 의혹’이 있는 부품을 제공한 업체, ‘델피’를 상대로 청문회를 열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아울러 미국 교통 당국은 제너럴모터스 외에 자국에서 시판되는 모든 자동차를 대상으로 차량 점화 스위치와 에어백장치 결함 문제에 대한 대규모 조사에 착수하는 등 제너럴모터스로 촉발된 ‘자동차 리콜 사태’는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