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동차정책기획단 내달 폐지

국토부 자동차정책기획단 내달 폐지

입력 2014-08-13 00:00
업데이트 2014-08-13 0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장직 없어져…업무차질 우려

자동차 연비 검증 등의 업무를 맡아온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기획단이 정식 조직이 아니라는 이유로 다음달께 폐지된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3월 국토부를 상대로 정원 감사를 한 이후 자동차정책기획단의 폐지를 요구해왔고 국토부는 결국 이에 따르기로 했다.

자동차정책기획단이 없어지면 소속 3개 과는 교통물류실장 직속으로 들어간다.

김복환 국토부 창조행정담당관은 “9월에 자동차정책기획단을 폐지한다. 대신 현안 위주의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운영하다 내년에 정규직제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13일 말했다.

국토부는 이런 방안을 이번주 안에 안행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2008년부터 자동차정책기획단을 만들어 고위공무원(1·2급)이 아닌 3급 공무원에게 사실상 국장 역할을 하는 자동차정책기획단장을 맡겨왔다.

이는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에 어긋난다고 안행부는 결론을 내렸다.

김정기 안행부 조직진단과장은 “국토부가 직제에 없는 국장급 자리를 임의로 만든 것”이라면서 “국토부에 이달 중순까지 개선계획을 내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국장급 자리가 늘어나지 않도록 직제를 대통령령으로 엄격하게 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자동차정책기획단은 최근 현대차 싼타페와 쌍용차 코란도스포츠의 연비가 부풀려졌다고 발표하고 파노라마 썬루프 파손 결함을 국제사회에서 처음으로 제기하는 등 굵직한 자동차 이슈를 주도해왔다. 튜닝 규제 개혁 등 튜닝산업 육성 등에도 노력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이같은 업무를 총괄하는 단장이 없어지면 업무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김복환 담당관은 “요즘 연비다, 안전이다, 이슈가 많아 정규조직화가 급하다. 다른 데다 갖다 붙이기엔 업무가 많다”면서 “안행부 직제령 개정 과정에서 자동차 관련 정규조직을 만들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자동차정책기획단과 마찬가지로 정규 직제에 없는 국제협력정보화기획단도 폐지할 예정이다.

한편 임시 조직은 아니지만 별도 조직으로 돼 있는 철도안전기획단은 올해 안에 정식 조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