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가율 80%이상 23만여가구…작년말의 10배

수도권 전세가율 80%이상 23만여가구…작년말의 10배

입력 2013-11-03 00:00
업데이트 2013-11-03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80% 넘는 아파트가 23만여가구로 작년 말의 10배에 달했다.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단지.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단지.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80% 넘는 가구는 10월 말 현재 총 23만89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말 2만3천450가구의 10배 수준이다.

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가구 수는 서울이 현재 2만1천405가구로 작년 말 1천975가구의 11배에 육박하며 경기는 작년 말 2만1천475가구에서 현재 20만5천439가구로 급증했다.

작년 말 전세가율이 80%를 넘는 아파트가 한 채도 없던 인천에선 현재 4천46가구에 이른다.

전세가율 80% 이상 아파트 물량은 서울에선 전체(126만4천674가구)의 1.7% 수준이며 경기 아파트 중에선 전체(202만3천375가구)의 10.2%에 달한다.

아파트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하락·전세가격 상승’ 기조가 이어지면서 꾸준히 높아졌다.

국민은행 ‘KB 부동산알리지(R-easy)’가 조사한 전국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10월 말 현재 65.9%를 기록했다.

이 중 서울의 전세가율은 60.1%로 올라 2002년 8월(60.7%) 이후 11년 2개월 만에 60%대에 다시 진입했다. 서울에서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은 구(區)는 전체 25개 중 성북 등 17개 구(68%)에 달했다.

25일 기준으로 조사한 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 중에선 서울 강동구 천호동 주상복합 강동역우정에쉐르(전용면적 62㎡)가 92.2%로 가장 높다. 매매가격이 2억5천만∼2억6천만원인 이 아파트의 전세가격은 2억3천만~2억4천만원에 이른다.

서울 강동구 천호동 천호역두산위브센티움(전용면적 39㎡)도 92.1%로 뒤를 이었다.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 격차가 1천500만∼2천만원밖에 나지 않는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2가 주상복합 대우1차(전용면적 59㎡)의 전세가율도 91.7%를 기록했다. 전세가격이 2억2천만원으로, 매매가격 하한가인 2억원보다 비싸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 대우디오빌(전용면적 39㎡)의 전세가율도 90.7%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도권에서 법원 경매가 진행된 아파트의 평균 낙찰가율이 10월에 82.11%를 기록한 점을 고려할 때 전세가율 80% 이상인 아파트에 거주하는 전세 세입자는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 전세금을 떼일 가능성이 크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전세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데도 매매 수요는 많이 늘어나지 않고 있다”며 “취득세 영구 인하 등 부동산관련 법안의 입법이 조기에 이뤄지지 않으면 내년에도 매매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표> 전세가율 높은 단지 현황

┌────────┬───────────┬──────┬──────┐

│위치   │아파트명 │전용면적㎡ │전세가율 │

├───┬────┼───────────┼──────┼──────┤

│강남구│역삼동 │대우디오빌 │39 │90.7% │

├───┼────┼───────────┼──────┼──────┤

│강동구│천호동 │천호역두산위브센티움 │39 │92.1% │

├───┼────┼───────────┼──────┼──────┤

│강동구│천호동 │강동역우정에쉐르 │62 │92.2% │

├───┼────┼───────────┼──────┼──────┤

│강서구│등촌동 │코오롱오투빌1차 │60 │91.3% │

├───┼────┼───────────┼──────┼──────┤

│강서구│등촌동 │우성 │65 │88.2% │

├───┼────┼───────────┼──────┼──────┤

│강서구│등촌동 │코오롱오투빌2차 │60 │91.6% │

├───┼────┼───────────┼──────┼──────┤

│강서구│등촌동 │등촌2차보람 │59 │88.7% │

├───┼────┼───────────┼──────┼──────┤

│서초구│서초동 │더샵서초 │30 │90.2% │

├───┼────┼───────────┼──────┼──────┤

│서초구│서초동 │쌍용플래티넘 │68 │89.7% │

├───┼────┼───────────┼──────┼──────┤

│성동구│성수2가 │대우1차(주상복합) │59 │91.7% │

│ │ │ │ │ │

├───┼────┼───────────┼──────┼──────┤

│성동구│성수2가 │우방2차 │60 │89.5% │

│ │ │ │ │ │

├───┼────┼───────────┼──────┼──────┤

│성북구│정릉동 │태영 │59 │90.7% │

├───┼────┼───────────┼──────┼──────┤

│양천구│신정동 │보람쉬움 │85 │86.1% │

├───┼────┼───────────┼──────┼──────┤

│양천구│신정동 │보람쉬움 │60 │86.7% │

├───┼────┼───────────┼──────┼──────┤

│영등포│문래동6 │현대6차 │51 │84.8% │

│구 │가 │ │ │ │

├───┼────┼───────────┼──────┼──────┤

│영등포│양평동3 │경남1차 │60 │88.5% │

│구 │가 │ │ │ │

├───┼────┼───────────┼──────┼──────┤

│중랑구│면목동 │삼익 │60 │87.0% │

└───┴────┴───────────┴──────┴──────┘

※ 자료: 부동산114(전세가격 평균 기준)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