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등 서울 9개구, 매매거래총액>전세거래총액

노원구 등 서울 9개구, 매매거래총액>전세거래총액

입력 2014-03-19 00:00
업데이트 2014-03-19 1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매매전환 유도정책 효과 발휘”

전세 수요의 주택 매입 전환을 유도하는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서울 노원구, 성북구 등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이 높은 서울의 일부 자치구에서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114는 2011∼2013년 50만여건에 달하는 서울의 매매·전세 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노원, 성북, 도봉, 중랑, 종로, 강북, 금천, 은평, 동대문 등 서울의 총 9개 자치구에서 매매거래 총액이 전세거래 총액을 넘어섰다고 19일 밝혔다. 2012년에는 서울 25개구 모두에서 전세거래 총액이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일부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거래 회전의 영향으로 전세거래 빈도가 매매보다 잦고, 이에 비례해 전세거래 총액도 매매거래 총액보다 많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처럼 서울의 일부 지역에서 이변이 일어난 것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아파트 비중이 높은 한강 이북 일대 자치구에서 정부의 매매전환 유도정책이 통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매매거래 총액이 전세거래 총액을 넘어선 노원, 성북, 도봉, 금천 등은 65%이상의 높은 전세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매매전환 비용도 서울 평균(2억1천920만원)보다 훨씬 낮은 1억원대 초반 수준에 머물러 전세 세입자들이 비교적 부담없이 매매로 갈아탈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해 서울 전체에서의 아파트 매매·전세 거래량은 총 17만7천229건으로 이 가운데 매매는 6만3천843건(36.0%), 전세는 11만3천386건(64.0%)으로 집계됐다. 여전히 전세거래 비중이 높지만 2012년 매매(25.6%)와 전세(74.4%) 거래 비중에 비하면 매매거래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매매거래 총액도 28조953억원에 달해 전세거래 총액(32조635억원)과의 격차를 약 4조원으로 좁혔다. 2012년에는 매매거래 총액과 전세거래 총액의 차이가 19조원에 달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