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68% 돌파…2002년 6월이후 최고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68% 돌파…2002년 6월이후 최고

입력 2014-04-06 00:00
업데이트 2014-04-06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8.1%로 12년만에 가장 높아…매매보다 전세가격 상승 높은 영향광주 광산구 79.6%로 최고…과천시는 49.3%로 최저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전국 평균 68%를 돌파했다.

6일 KB국민은행이 조사한 3월 전국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평균 68.1%로 지난 2002년 6월(68.2%) 이후 처음으로 68%를 넘어섰다.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매매가와 전세가의 격차가 줄었다는 것으로 최근 전세가격은 계속 오르는데 매매가격은 전세가보다 상승폭이 작거나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의 경우 63.2%로 2001년 12월(63.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소형 아파트가 몰려 있는 성북구가 70.4%로 가장 높았고 구로구(67.9%), 동작구(67.7%), 서대문구·강서구(67.4%), 관악구(67.2%), 광진구·마포구(66.7%) 등의 순이었다.

반면 고가 주상복합아파트가 밀집한 용산구는 51.9%로 서울에서 가장 낮았고 강남구 55.9%, 서초구 59.1%, 송파구 59.8%, 강동구 60% 등 집값이 비싸고 재건축 추진 단지가 많은 지역일수록 전세가율이 낮았다.

6대 광역시의 전세가율 평균은 70.2%로 조사됐다. 광주 77.8%, 대구 74.1%, 울산 72.3%, 대전 71.2%, 부산 68.5%, 인천 62.3%로 나타났다.

대부분 전 월보다 상승했으나 대구만 전 월(74.4%)에 비해 떨어졌다. 최근 대구지역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전세가율이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전국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광역시 남구로 79.6%에 달했다.

반면 전국에서 가장 낮은 곳은 49.3%를 차지한 과천시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평균 전세가율이 50%를 밑돌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