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 ‘역대 최저’…작년보다 86%↓

서울 장기전세주택 공급 ‘역대 최저’…작년보다 86%↓

입력 2014-09-17 00:00
업데이트 2014-09-17 1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114 “서울 공공택지 부족이 원인…공급전망 불투명”

올해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급량이 2007년 도입 이후 최저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서울의 공급되는 장기전세주택은 842가구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공급량 6천65가구와 비교하면 86%나 감소한 수치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재임 시절 도입된 장기전세주택은 주변 전세가의 80% 수준에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도록 한 공급 조건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2007년부터 올해까지 27차에 걸쳐 모두 2만6천여 가구가 공급됐다.

부동산114는 장기전세주택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서울의 공공택지 개발 여력이 크게 줄면서 신규 공급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공공택지에 공급된 장기전세주택 비중을 살펴보면 2007년 전체 2천16가구 가운데 97%(1천962가구), 2008년 90%(2천354가구), 2009년 70%(2천269가구), 2010년 99%(7천271가구), 2011년 97%(3천429가구), 2012년 84%(706가구), 지난해 88%(5천338가구)로 높은 수준을 이어가다 올해 59%(497가구)로 급감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추가로 개발할 택지지구가 부족한 상황이어서 내년 이후에도 올해보다 공급량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무주택 수요자라면 신규청약에 대한 기대를 낮추고 재계약 물량 등 틈새시장을 노리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