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 전세시장 ‘4중고’

내년 서울 전세시장 ‘4중고’

입력 2014-12-08 00:00
업데이트 2014-12-08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① 월세 전환 증가 ② 구매심리 위축 ③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 ④ 재건축·재개발 이주수요 증가

내년 서울 전세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전세주택의 월세 전환 증가, 주택 구매 심리 위축,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 재건축·재개발 이주 수요 증가 등 ‘4중고’가 겹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울 전세난에 지친 세입자들이 인근 중소도시로 떠밀려 나가는 ‘전세 유랑객’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전세를 월세로 돌리려는 집주인이 빠르게 늘어나고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감이 떨어져 집을 구입하지 않고 계속 전세로 살겠다는 세입자가 증가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지역 주택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은 37.7%로 2012년(31.2%)보다 6.5% 포인트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에는 서울에서만 월세 비중이 40%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순수 월세나 보증금이 적은 보증부 월세의 경우 굳이 확정일자인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실제 월세 비중은 통계치보다 높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최근의 전세난은 단순한 임대용 주택 물량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집을 구매하려는 욕구가 줄어들면서 자의적으로 전세를 원하는 수요자가 증가한 것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재개발·재건축사업 활성화로 이주 수요가 증가하는 것도 전세난에 기름을 붓는 꼴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내년 서울에서 이주가 시작될 재건축단지는 2만 1000가구에 이른다. 아직은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지만 내년 이후 이주 대상 재개발사업 물량도 3만 6603가구나 된다. 적어도 3만~4만 가구의 전세 수요가 늘어나는 셈이다.

반면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보다 크게 줄어든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보다 45%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 418가구로 올해 3만 6860가구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최근 5년 새 입주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2년(1만 9088가구)과 비슷한 규모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어든 것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서울지역 새 아파트의 주요 공급원인 재개발·재건축사업 추진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보금자리주택 등 공공아파트 입주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도 내년 입주 물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재개발·재건축 이주 수요가 겹쳐 전세 물량 부족 현상은 더욱 가중될 우려가 짙다”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12-08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