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 7억원대로…급매물 영향 소폭 하락

서울 아파트 매매가, 7억원대로…급매물 영향 소폭 하락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05-05 15:34
업데이트 2019-05-05 15: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부 규제 강화, 서울시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서울 재건축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을 대표하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정부 규제 강화, 서울시의 인허가 지연 등으로 서울 재건축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을 대표하는 대치동 은마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3개월 연속 하락하며 8억원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4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7억 9921만 1000원으로 올해 1월 처음 8억원을 넘어선 이후 넉달 만에 다시 8억원 이하로 떨어졌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초 8억 1012만 9000원을 기록해 2012년 감정원이 이 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8억원을 넘어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정부의 9·13 규제대책이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해 2월 8억602만 7000원, 3월에는 8억 215만 7000원으로 각각 하락했다. 4월 들어서는 8억원선도 무너졌다.

평균 매매가가 하락한 것은 지난 3월 중순 이후 급매물이 팔리기 시작하며 실거래가가 내려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강북 14개구(강북권역)의 평균 매매가격은 1월 6억 3101만 3000원에서 4월에는 6억 2592만5000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강남 11개구(강남권역)는 9억 6063만 7000원에서 9억 4481만 9000원으로 떨어졌다.

아파트 매매가가 가장 높은 강남구는 평균 매매가격이 1월 16억 1796만 1000원에서 4월에 15억 8201만 1000원으로, 서초구는 올해 1월 15억 5551만 5000원에서 4월에는 15억 2779만 8000원으로 내렸다.

이어 용산구가 1월 13억 7850만원에서 4월에는 13억 6727만 6000원으로, 송파구는 1월 11억 1375만 6000원에서 4월 10억 9825만 7000원으로 각각 떨어졌다. 다만 이들 4개구는 평균 매매가격은 10억원 이상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월 9억 297만 4000원으로 9억원대까지 올랐던 광진구는 4월 8억 9655만 3000원으로 내려왔고 올해 초 8억 732만 7000원까지 올랐던 동작구는 4월 들어 7억 9453만 1000원으로 내렸다.

중간 가격을 의미하는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도 1월 7억 8619만원에서 4월에는 7억 7704만 8000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또 다른 시세 조사 기관인 KB국민은행의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월 8억 4025만원에서 4월 8억 1131억원으로, 중위가격은 8억 4025만원에서 8억 2574만원으로 각각 소폭 하락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