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전장용 MLCC 글로벌 톱2 노린다

삼성전기, 전장용 MLCC 글로벌 톱2 노린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9-06-16 21:14
업데이트 2019-06-17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재 점유율 4위…가격·수요 안정적, 2022년 매출 비중 20%로 상향 목표

삼성전기가 3년 뒤 전장(電裝)용 적층세라믹축전기(MLCC) 시장에서 글로벌 ‘톱2’에 들겠다고 밝혔다. MLCC는 ‘산업의 쌀’로 불리는 전자 부품으로, 전기를 저장했다가 AP, IC 등 반도체 부품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삼성전기 컴포넌트 전장개발그룹장 정해석 상무는 16일 “올해는 전체 매출에서 전장용 MLCC 비중 10%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2년 글로벌 톱2로 올라서겠다”고 말했다. 2022년에는 매출 비중이 20%로 오르고, 2024년에는 30%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기는 현재 글로벌 전장용 MLCC 시장에서 일본의 무라타와 TDK, 교세라에 이어 점유율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정보기술(IT)용 MLCC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기록적인 실적을 이어 왔으나 최근 IT 제품 수요 둔화로 불안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그러자 최근 전장용 MLCC의 매출 비중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장용 MLCC는 진입장벽이 높아 수요가 안정적이다. 또한 IT용보다 판가가 높고 인하폭도 낮아 장기간 공급이 가능하고 가격도 잘 내려가지 않는다.

전장용 MLCC 시장 규모는 현재 전체 MLCC의 20% 정도지만, 2022년엔 30%, 2024년엔 35%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MLCC는 한 대당 약 1만 3000개로 스마트폰 한 대에 필요한 MLCC 1000개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데다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가격도 3∼5배가량 비싸다. 향후에도 자동차의 전장화와 자율주행화로 차량당 MLCC 탑재량은 더욱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6-17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