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심비·가성비 다 잡은 삼성물산 패션, 나홀로 웃었다

가심비·가성비 다 잡은 삼성물산 패션, 나홀로 웃었다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4-02-05 02:28
업데이트 2024-02-05 0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년 연속 연매출 2조클럽 호실적
신명품·SPA 투트랙 전략 빛발해
한섬 등 빅4, 영업익 반토막 전망

이미지 확대
경기 불황에 따른 소비 심리 하락 여파로 지난해 국내 패션업계에 한파가 불어닥친 가운데 삼성물산 패션부문만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나홀로 호실적을 거뒀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패션부문(이하 삼성)은 지난해 매출 2조 510억원, 영업이익 194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5%, 7.8% 증가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2년에 국내 대기업 계열 패션업체 중 처음으로 ‘2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데 이어 2년 연속 연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패션기업 ‘빅5’로 불리는 주요 기업들이 지난해 전년보다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든 것과 대조적이다. LF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3.5% 감소한 1조 9007억원, 영업이익은 66.4% 감소한 622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부동산 업황 부진으로 부동산 금융부문(코람코)이 직격탄을 맞은데다, 패션 신규 브랜드 출시에 따른 투자 비용 증가가 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아직 지난해 실적 발표 전인 신세계인터내셔널, 한섬, 코오롱 인더스트리 FnC부문도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56.1%, 42.5%, 47.2% 감소하며 모두 이익이 반토막 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의 약진은 소위 ‘신명품’으로 불리는 럭셔리 수입 브랜드를 적극 발굴하는 한편, 자사의 SPA(스파) 브랜드 에잇세컨즈로 저가형 시장을 공략한 ‘투트랙 전략’이 빛을 발했다는 분석이다. 신명품이란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 등의 기성 명품과 구분되는 고급 해외 브랜드를 말한다.

삼성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 브랜드 자크뮈스, 스튜디오 니콜슨, 가니 등의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170%, 90%, 50% 신장했다. 삼성은 비이커, 10 꼬르소 꼬모 등 편집숍을 중심으로 신명품 브랜드를 다수 발굴하며 수년 째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아미, 꼼데가르송, 메종키츠네 등이 모두 삼성이 소개해 국내에서 인기를 끈 신명품 브랜드들이다. 삼성이 처음 국내에 들여온 톰브라운은 지난해 톰브라운코리아를 설립하고 국내 직진출을 선언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에잇세컨즈도 매출이 전년 대비 10% 이상 늘었다.
김희리 기자
2024-02-05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