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시장 활기 찾나…상반기 거래량 22% 증가

파생상품시장 활기 찾나…상반기 거래량 22% 증가

입력 2015-07-21 07:48
업데이트 2015-07-21 0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증시 활황 영향…증권업계 “미니상품 효과 기대”내년에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부과되면 거래 위축 우려도

수년간 위축됐던 국내 파생상품시장이 상반기에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전체 거래량 합계는 338조815억 계약으로 작년 같은 기간 318조2천50억 계약과 비교해 21.96% 증가했다.

작년 하반기 거래량 359조5천832억 계약과 비교해도 7.93% 늘었다.

종목별로는 코스피200옵션의 하루평균 거래량이 작년 상반기 182만3천계약에서 올해 상반기 198만8천계약으로 9.05% 증가했다.

코스피200선물의 하루평균 거래량은 같은 기간 15만8천계약에서 15만2천계약으로 소폭 감소했다.

한국 파생상품시장은 거래량 기준으로 2011년까지 세계 1위였으나 2012년부터 순위가 급격히 추락했다.

2013년 9위로 겨우 10위권을 지켰으나 작년에는 12위로 밀려났다.

2012년 옵션 승수가 기존 1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인상되는 등 여러 규제가 가해지면서 거래가 크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2011년 연간 파생상품시장 전체 거래량 합계는 3천927조 계약에 달했으나, 3년 연속 거래가 줄어 지난해에는 677조 계약으로 급감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증시 활황에 힘입어 파생상품시장이 다소 활기를 되찾은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업계는 20일 상장된 미니코스피200선물·옵션이 파생상품시장 회복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니상품은 코스피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다는 점은 코스피200선물·옵션과 같지만 계약당 거래금액은 5분의 1로 축소해 투자자 접근성을 높였다.

그동안 투자자보호가 강조되면서 진입 장벽이 높아졌으나 미니상품 도입으로 어느 정도 문턱이 낮아진 셈이다.

거래소 측은 “미니상품 상장으로 투자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정밀한 차익·헤지거래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해외에서도 성공한 사례가 있는 미니상품 도입이 파생상품시장 활성화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미국과 일본 등에서도 미니상품 도입으로 파생상품시장 거래량이 증가한 바 있다.

일본에서는 2006년 도입 이후 원상품(닛케이225선물)과 미니선물의 연평균 거래량이 각각 평균 3%, 46% 증가했다.

이중호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미니상품 상장은 최근 급격한 거래량 감소를 경험한 시장에 단비와 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며 “계약 단위가 작아짐에 따라 더 많은 투자자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 다양한 전략이 등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파생상품시장 기본예탁금 제도가 그대로 남아 있고 파생상품 양도소득세가 도입될 예정이어서 파생상품시장 활성화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내년부터 코스피200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 양도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소 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양도소득세가 도입되면 다시 거래가 급격히 위축될 것”이라며 “더구나 만약 중국이 파생상품시장을 개방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시장에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