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가난한 학생엔 외고진학 장벽 여전/이영준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가난한 학생엔 외고진학 장벽 여전/이영준 사회부 기자

입력 2010-03-24 00:00
업데이트 2010-03-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11월부터 진행될 2011학년도 외국어고 입시에 벌써부터 큰 구멍이 보인다. 내년부터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으로 선발해야 할 인원이 올해 5명에서 최대 84명까지 늘어나 모집정원을 못채울 것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이영준 사회부 기자
이영준 사회부 기자
교육과학기술부는 1월 외고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내년도 외고 입시부터 사회적 배려대상자의 모집비율을 총 정원의 10~20%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외고의 전교생 수가 350~420명인 점을 감안하면, 한 학교당 최소 35명에서 최대 84명이다. 과연 외고는 올해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으로 총 정원의 10~20%를 채울 수 있을까.

정답은 올해 응시결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학교당 5명씩 뽑겠다고 나선 서울지역 외고 대부분 미달사태가 났다. 대원외고와 명덕외고에는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화외고는 한 명만 지원해 합격했다. 5개 외고에서 총 25명을 뽑는데 지원자는 11명에 불과했다. 결과가 이러한데 올해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최대 84명이나 선발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이처럼 사회적 배려대상자들이 아무리 교과성적이 좋아도 외고 진학을 꺼리는 이유는 바로 ‘돈’ 때문이었다. 올해 외고 진학을 포기했던 한 학생은 “학교에서 부잣집 자녀들과 어울리기 힘들고, 학비 이외에 추가로 들어가는 학습비용도 만만찮다.”고 말했다.

이대로라면 외고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은 그 취지가 퇴색될 공산이 크다. 내년 외고입시결과 배려자 전형에서 파리만 날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차별화된 교육을 위해 도입된 외고에 차별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적 배려자전형을 섞기란 간단치 않은 문제지만, 교육이 가난한 자의 희망이 돼야 한다는 명제는 지켜져야 한다.

쉽지 않겠지만 외고는 하루속히 사회적 배려대상자 전형의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내년에도 제2의 ‘자율고 사태’가 찾아오지 말라는 법 없다.

apple@seoul.co.kr
2010-03-2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