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창원에서도 이휘소 같은 천재가/민병기 창원대 국문학 교수

[지방시대] 창원에서도 이휘소 같은 천재가/민병기 창원대 국문학 교수

입력 2010-05-04 00:00
업데이트 2010-05-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필자가 있는 곳은 창원이다. 동북아기계산업도시 간 공동발전과 교류협력을 위해 창원시가 결성을 주도한 움카(UMCA, 동북아기계산업도시연합) 본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미지 확대
민병기 창원대 국문학 교수
민병기 창원대 국문학 교수
움카는 현재 4개국 12개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창원 이외에 안산, 포항, 시흥시가 가입해 있다. 해외에서는 러시아의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일본의 오가키·우베시, 중국의 웨이난·웨이하이시 등 5개 도시가 회원도시이다. 움카는 1년에 한 차례씩 번갈아가며 회의를 열고 있다. 지난해에는 안산에서 무역상담회를 가졌다.

서울공화국이라 불릴 정도로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한 우리나라에서 기초지자체가 열성적으로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국내 기초지자체의 경우, 해외에 비해 차별화된 지역발전 전략은 다소 부족해 보인다. 너나 할 것 없이 비슷한 지역 특산물을 앞세워 축제를 개최하기 일쑤 아닌가.

모름지기 지역발전은 그 지역의 역사적 특성과 입지적 특징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모색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창원은 나름대로 성공하고 있다. 창원은 국내의 대표적인 산업도시다. 창원에는 GM대우를 비롯해 자동차, 기계제조, 전자, 철강 등 다양한 산업체들이 많다.

요즈음 청소년들의 장래희망은 과학자보다는 연예인, 스포츠선수 등이 많다고 한다. 과거와는 많이 다른 현상이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실정에서 지자체마다 과학 꿈나무 교실 개최 등 다양한 과학 영재 발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다행이다. 얼마 전 교육과학기술부에서도 국가 과학자를 5명씩 선정, 예산을 한 사람당 연간 5억원에서 15억원씩 지원하며 과학기술계 격려에 나섰다.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이같은 국가 과학자 선정 및 지원제도가 이어졌으면 한다.

이 같은 지자체나 중앙정부차원의 노력과는 별개로 각 대학사회 및 언론기관에서도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를 알리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난 주말에 한국방송공사(KBS)가 과학의 달을 보내며 특집 다큐물로 ‘이휘소의 진실’을 방영했는데 시의적절했다고 본다.

1990년대 인기가 높았던 소설과 영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때문인지 그의 실체가 왜곡되었다. 동명의 이름을 가진 소설과 영화 속에 실명 인물들이 많이 나와서, 독자·관객들은 픽션의 내용을 사실로 착각할 가능성이 많다. 그런 픽션적 오류를 바로잡는 데 다큐 ‘이휘소의 진실’은 많은 도움이 됐다고 본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많은 어린이들이 이휘소를 모델로 삼아 과학자를 꿈꾸고 동경하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프로였다.

필자는 창원과 같은 지방도시에서도 이휘소 같은 천재 과학자가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려면 과학교육 방송의 비중이 커져야 한다. 이와함께 지역의 대학들도 과학 영재 육성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창원대학에는 영재교육 센터가 개설되어 있다. 이 영재교육 센터를 더 활성화시켜 보다 더 많은 과학꿈나무를 대학이 육성할 수 있어야 한다.
2010-05-0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