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과일을 디저트로만 먹어야 하나/최동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기고] 과일을 디저트로만 먹어야 하나/최동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입력 2010-05-07 00:00
업데이트 2010-05-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동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최동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건강장수에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인 요인도 중요하지만 생활환경, 평생 먹는 음식 등의 영향도 크다.

평생 먹는 음식 가운데서 과일이나 채소가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상식이다. 최근 영국의 장수연구 전문가인 마크 스티비치 박사가 밝힌 바에 따르면 채소와 과일의 섭취가 건강에 좋다는 일반적인 상식이 과학적으로도 증명되었다고 한다. 40세에서 79세까지의 영국 남녀 1만 67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을수록 더 건강하더라는 것이다. 조사 대상자가 흡연하거나 다른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같은 결과였다.

특히, 하루에 과일과 채소를 한 접시씩만 더 먹으면 건강지수가 11%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별다른 노력 없이도 하루에 단지 과일과 채소를 한두 접시 더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이야기다.

우리 국민의 음식 소비 패턴은 최근 30여년간 많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1인당 쌀 소비량은 1978년 135kg에서 2008년 86kg으로 줄어든 반면 육류소비량은 12kg에서 41kg으로 증가하였다.

같은 시기에 채소와 과일 소비량은 각각 1.5배와 2.7배 늘어났다. 하지만, 우리 국민의 채소 섭취량은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충분한 수준인 반면에 과일 섭취량은 매우 낮은 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채소 소비량은 2008년에 1인당 연간 154kg이었다. 연간 125kg 안팎을 소비하는 미국, 영국, 일본, 타이완보다 약 23%나 많다. 반면 과일은 1인당 연간 44kg을 소비한다. 일본의 58kg보다 적고 미국, 영국, 타이완의 122~138kg에는 3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건강장수를 위해서는 과일을 더 먹어야 한다. 과일을 디저트나 접대용 식품 정도로 생각하지 말자. 서양에서처럼 음식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가 김치로 매일 먹는 배추, 무, 당근과 같이 사과, 배, 포도 등 과일 역시 식이섬유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건강식품들이다. 요리 단계에서부터 식사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과일을 자연스레 먹도록 하는 지혜로운 식문화와 식습관을 만들어가자.

우리나라의 과일 자급률은 2008년 기준으로 85% 수준이다. 일부 열대과일을 제외하면 소비를 늘리는 데 문제가 없다. 과일은 무엇보다도 과수원에서 식탁으로 이어지는 푸드마일리지가 짧은 신선식품이라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수입되는 일부 식품과는 차별화가 분명한 안전식품이다.

국민들이 다양한 과일을 연중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된 데는 봄철 온실재배에서부터 수확 후 관리 기술, 유통에 이르기까지 힘들게 농사지은 농업인뿐만 아니라 온실산업으로 대표되는 1980년대의 백색혁명을 주도한 농촌진흥 공직자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의 기여가 크다.

농촌진흥청은 우리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작년부터 ‘푸른농촌 희망찾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운동의 3대 미션 가운데 하나가 ‘안전한 농산물 생산’이다. 우리 땅에서 나는 신선하고 안전한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국민의 건강장수에도 좋고 우리 농업을 살리는 길이다.
2010-05-0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