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남편의 자격/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남편의 자격/이순녀 논설위원

입력 2010-05-22 00:00
업데이트 2010-05-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인기있는 TV 예능프로그램 중 하나가 ‘남자의 자격’이다. ‘남자라면 죽기전에 꼭 해야 할 일 101가지’를 모토로 평균 연령 41세의 아저씨 연예인 7명이 온갖 체험을 통해 대한민국 보통 남성들의 의식과 생활상을 현실감 있게 보여 줘 공감대를 얻고 있다. 다양한 에피소드 가운데 가사체험이 있었다. 아내가 사라졌다는 가정하에 집에 남겨진 이들은 밥짓기와 청소, 빨래 같은 가사일 앞에서 어쩔 줄 몰랐다. 전기밥솥 버튼 한번 누른 적 없다는 이경규는 집에선 손 하나 까닥하지 않는 이 시대 평균적인 중년가장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은 김성민이 의욕적으로 장을 보고, 요리를 하는 장면은 꽤 인상적이었다.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가사와 육아분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점차 달라지고 있다. 사회 트렌드를 반영하는 CF가 단적인 예다. 아내를 위해 앞치마를 두르고 요리하는 남편, 아내를 대신해 아이를 안고 쩔쩔매는 젊은 아빠의 모습을 TV 광고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들고 엘리베이터를 탄 중년 남성이 냄새 때문에 따가운 시선을 받는다는 내용의 음식물처리기 광고도 기억난다. 불과 2~3년만의 변화다.

하지만 현실은 아직도 갈 길이 멀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 가사를 공평하게 나눠야 한다고 응답한 남편은 17.4%에 불과했고, 실제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경우는 8.7%였다. 맞벌이 가정에서 아내가 살림에 투자하는 시간은 2시간38분인 데 비해 남편은 고작 24분에 그쳤다. 남편의 휴일활동 첫째는 TV와 비디오 시청이지만 아내는 가사에 휴일을 가장 많이 할애했다. 가사 분담에는 이렇듯 인색하면서도 여성이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남성이 무려 81.5%에 이른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이제 가사분담은 남편의 선택이 아니라 자격이다. 가사분담률이 높은 가구가 둘째 아이를 출산하는 확률이 높다고 한다. 영국 한 대학의 연구결과 남편이 집안일을 많이 도울수록 이혼율이 낮고 가정이 안정적이라는 보도도 있었다. 통계청의 조사에서 전체 남편의 70.6%가 아내에 대해 만족하다고 답한 반면 아내의 남편에 대한 만족도는 60.8%에 그친 것도 가사분담을 둘러싼 불만이 반영됐을 것으로 보인다. 남편들이여, ‘손에 물 한 방울 안 묻히게 하겠다.’는 결혼 전 감언이설의 실천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자기 손에 물 한방울 안 묻히려는 행태만 보이지 않길 바랄 뿐.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2010-05-22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