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이변은 없다’ 그 뒷얘기/홍성규 정치부 기자

[오늘의 눈] ‘이변은 없다’ 그 뒷얘기/홍성규 정치부 기자

입력 2010-06-07 00:00
업데이트 2010-06-0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5일자 서울신문 6면에 게재된 ‘이변은 없다…기자들이 민심 몰랐을 뿐’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큰 반향을 일으킨 것 같다. 취재원들의 관심도 많았지만, 특히 인터넷 누리꾼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5일 하루 인터넷 포털 사이트들에 달린 댓글만 합쳐도 3000건이 훌쩍 넘는다.

이미지 확대
홍성규 정치부 기자
홍성규 정치부 기자
댓글 가운데는 빗나간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힐난이 많았다. 한 누리꾼은 “평일 낮에 집으로 전화하면 누가 전화 받나. 어르신, 어린이, 주부 등 아니냐. 그게 (고른 여론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여론 조사냐.”고 말했다.

인터넷 여론 동향의 반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컸다. “지금의 기성세대도 정보취득의 용이함 때문에 과거보다 훨씬 사고의 유연성이 좋아졌다.”, “주요 포털사이트의 댓글만 봐도 민심을 알 수 있다.”는 반응들이다.

정치인들의 말싸움이 아니라 정책대결을 유도해 달라는 글들도 눈길을 끌었다. 한 누리꾼은 “정치란 정치인 싸움이 아니고 정책싸움”이라면서 “국민을 위한 정책을 갖고 소통하며 보수·진보의 한계를 넘도록 유도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국민으로서 가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 중의 하나가 관심”이라면서 “팔짱 끼고 앉아 욕부터 할 것이 아니라, 욕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칭찬할 수 있는 보람을 느끼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언론의 사명과 책무에 대한 지적은 따끔했다. 한 누리꾼은 “현 정부가 잘못한 점이 많아 국민이 견제를 선택했지만, 민심을 모르는 언론도 그에 못지않게 반성할 게 많다.”고 비판했다. “언론 집단이 무슨 숨은 권력처럼 행동하려 한다.”, “민심을 몰랐던 게 아니라 귀 귀울이지 않았던 것”, “항상 국민 중심이 아닌 당 혹은 정치가 중심의 기자들이 아니었던가.”라는 지적들도 눈에 들어왔다. “그나마 반성하는 언론은 서울신문”이라는 격려도 있었다.

네티즌들의 한마디 한마디가 새겨들을 만한 것들이었다. 이런 반응과 지적을 보내준 독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보낸다.

cool@seoul.co.kr
2010-06-0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