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나로호의 도전은 계속 되어야 한다/김우식 창의공학연구원 이사장·전 과학기술부총리

[시론] 나로호의 도전은 계속 되어야 한다/김우식 창의공학연구원 이사장·전 과학기술부총리

입력 2010-06-16 00:00
업데이트 2010-06-1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에도 하늘 문은 끝내 열리지 않았다. 우리 땅에서 우리 발사체를 통해 우리의 위성을 자력으로 쏘아 올리는 나로호 발사 계획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도 실패로 끝이 났다. 지난해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할 만큼 아쉬움이 깊었던 터라 두 번째 발사 성공에 대한 국민들의 염원과 기대는 더욱 컸었다.

이미지 확대
김우식 창의공학연구원 이사장·전 과학기술부총리
김우식 창의공학연구원 이사장·전 과학기술부총리
다시금 위성의 자력 발사 성공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실감하게 된다. 그러나 나로호가 하늘 문을 완벽하게 열지는 못했지만 낙담하거나 여기서 주저앉아서는 안 된다. 우주개발은 국민적 열망과 함께 국가적으로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대한민국의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주발사체 자력 발사에 성공한 나라는 러시아·미국·프랑스·영국·중국·일본·인도·이스라엘·이란 등 9개국에 불과하다. 또한 우주 발사체는 수만 개의 부품들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작동해야 하는 극한기술의 집합체로, 우주개발 선진국들이 기술이전을 꺼리는 대표적인 첨단 기술이다. 따라서 우주발사체 기술은 실패를 거듭하면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경험 진화형 첨단기술로 일컬어진다. 유럽의 상업용 발사체 ‘아리안’도 연속적인 실패를 겪으면서 현재 최고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주발사체 개발과 발사 성공은 끝없는 인내의 과정을 요구한다. 우리나라가 우주개발을 본격화한 것이 불과 14년 전인 1996년쯤임을 고려하면 이제 초기단계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 부족한 전문 인력과 기술, 한정된 예산 속에서도 우리의 우주개발 사업은 우주 선진국들이 찬사를 보낼 만큼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저궤도 위성인 아리랑 위성뿐만 아니라 천리안 기능을 가진 정지궤도 위성까지 개발하는 능력을 갖추었고, 비록 발사에 실패했지만 자국에서 우주 로켓을 발사하는 나라가 된 것이다.

이제 겨우 두 번째 실패다. 두 번째 실패의 아쉬움이 크지만 한편으로 발사 성공에 대한 국민적 열망은 더욱 더 커졌고, 성공을 위한 귀중한 기술적 축적과 경험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연구기술진은 실패의 원인을 더욱 철저하게 분석·규명해야 하고 귀중한 경험을 숙지해야 한다. 그것이 나로호 3차 발사 성공은 물론 2020년쯤 한국형 우주발사체 개발 성공의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기존에 발사된 11개의 위성을 쏘아 올리기 위해 큰 사용료를 지불하며 타국에 있는 발사장을 이용해왔다. 하지만 이제 우리 땅에 있는 우주센터에서 우리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자국의 인공위성을 자국 발사체를 통해 자국 땅에서 발사에 성공한 우주선진국 대열인 이른바 ‘우주클럽(Space Club)’의 10번째 국가 합류는 잠시 미루어졌다. 하지만 국민들은 두 번의 발사 경험을 통해 우주개발 사업에 대한 큰 관심과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러시아와 체결한 나로호 발사 협력계약에 따라 한 번의 기회를 더 남겨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3차 발사는 1·2차 발사 실패를 거울삼아 완벽한 발사 성공을 기대한다. 그리고 그 여세를 몰아 2020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 우주발사체 개발 성공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끝으로 오랜 기간 불철주야 나로호 발사를 위해 헌신한 수많은 연구자, 기술진들에게 심심한 위로를 보낸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성공을 향한 힘찬 출발을 당부한다. 지금은 실망보다 대한민국의 꿈과 희망, 미래를 만들고 있는 그들의 노고에 대한 국민들의 따뜻한 격려와 관심이 더욱 중요하다. 실패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며, 나로호의 도전은 대한민국이 우주의 중심에 우뚝 서는 날까지 계속 이어져야 한다.

2010-06-1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